학술논문
사회복지사의 윤리의식이 자기효능감과 슈퍼비전을 조절된 매개로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s of Social Worker's Ethical Sense on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through Self-efficacy and Supervision as a Controlled Mediation
- 발행기관
- 한국복지경영학회
- 저자명
- 박종두
- 간행물 정보
- 『복지경영학연구』복지경영학연구 제14권 제1호, 171~20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윤리의식 수준이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슈퍼비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의 사회복지시설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로 하였으며, 총 51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SPSS 25.0과 AMOS 25.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윤리의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클라이언트에 대한 윤리와 기본 윤리가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에 대해서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윤리의식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기본 윤리, 클라이언트에 대한 윤리, 기관 윤리가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직무스트레스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기본 윤리와 클라이언트에 대한 윤리가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부분매개 및 완전매개 효과가 검증되었다. 다섯째, 슈퍼비전 기능에 따른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결과, 슈퍼비전은 윤리의식이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에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윤리의식을 높이기 위한 맞춤형 교육과 지원 프로그램 마련, 윤리 수준 증진을 위한 시설의 다양한 방법 시도,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시설의 노력, 슈퍼비전 실천화,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교류한 지원방법으로 실천적 함의를 제공했다. 연구를 통하여 실시된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 증진과 직무스트레스 예방 전반에서 윤리의식, 자기효능감, 슈퍼비전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데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level of ethical awareness of social workers on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the controlled mediating effect of supervision in this proces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ocial workers working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Seoul, a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512 peopl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5.0 and AMOS 25.0.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n the effect of ethical consciousness on job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ethics and basic ethics toward cli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it was verified that they had a negative effect on job stress. Second, in the effect of ethical consciousness on self-efficacy, basic ethics, ethics toward clients, and institutional ethics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Third, it was confirmed that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negative effect on job stress. Fourth, the partial and complet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were verified in the effect of basic ethics and ethics on clients on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supervision function, it was found that in supervision, ethical consciousness was controlled in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by preparing customized education and support programs to raise ethical awareness, attempting various methods of facilities to improve ethical level, efforts of facilities to improve self-efficacy, practicing supervision, and exchanging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conducted through the study is significant i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ethical consciousness, self-efficacy, and supervision in promoting job satisfaction and preventing job stress of social worker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Ⅲ. 연구 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직업능력이 장애인 근로자의 일상생활만족에 미치는 효과 분석: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한국복지경영학회의 도전과 과제
- 요양시설 인권교육과 서비스 품질과의 관계에서 요양보호사의 인권감수성과 인권컴플라이언스의 영향
- 정신장애인의 자립지원 관련 연구동향 분석: 등재학술지를 중심으로(2017-2024)
- 웰다잉서포터즈가 초고령재가노인의 죽음인식 변화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어르신인생노트사업 참여집단 사례를 중심으로
- 노후준비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과 가족 탄력성의 매개효과: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거주노인 비교
- 요양보호사의 직업정체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연구
- 사회복지사의 윤리의식이 자기효능감과 슈퍼비전을 조절된 매개로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노인장기요양기관의 ESG활동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노인장기요양기관 시설형태의 다중집단분석 비교를 중심으로
-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인권감수성 분석: J 지역 S노인보호전문기관 노인학대 사례를 중심으로
- 통합돌봄을 위한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역할과 응급안전안심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한부모가족에 대한 서비스 제공 경험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직업능력이 장애인 근로자의 일상생활만족에 미치는 효과 분석: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한국복지경영학회의 도전과 과제
- 요양시설 인권교육과 서비스 품질과의 관계에서 요양보호사의 인권감수성과 인권컴플라이언스의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