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인장기요양기관의 ESG활동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노인장기요양기관 시설형태의 다중집단분석 비교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s of ESG Activities of Long-Term Care Institution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terms of multi-group analysis of multi-group analysis of elderly-term care institutions
발행기관
한국복지경영학회
저자명
김미림
간행물 정보
『복지경영학연구』복지경영학연구 제14권 제1호, 149~17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기관의 ESG활동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노인장기요양기관 시설형태의 다중집단 비교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장기요양협의회를 통해 노인장기요양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700명의 응답자를 중심으로 연구했다. 본 연구는 SPSS WIN 27.0과 Amos 27.0 프로그램을 통해 인과구조 검증과 다중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분석 결과 환경(ß=.334, C.R=8.603, p<.001), 사회공헌(ß=0.373, C.R=9.055, p<0.001), 지배구조(ß=0.362, C.R=8.430, p<0.001)가 조직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확인했다. 또한, 노인장기요양기관 시설형태의 다중집단 비교를 검증한 결과 시설급여 기관에서 환경보호 활동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β=0.499)이 재가급여 기관보다 높은 영향력을 보였고(C.R=3.098, p<0.01), 시설급여에서 지배구조가(β=0.452) 재가급여 기관(β=0.309)보다 높은 영향력을 보였다(C.R=7.069, p<0.001). 반면, 사회공헌 활동에서 시설급여(β=0.506)와 재가급여(β=0.351) 집단 모두에서 조직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나, 집단 간 영향력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C.R=1.908, p>0.05). 통계적인 결과를 기반으로 노인장기요양기관의 조직성과 제고를 위한 환경활동 강화, 지역사회와의 사회공헌 활성화, 지배구조 개선, 시설급여와 재가급여 기관 간 ESG활동의 격차 해소를 위한 맞춤형 실천과 정책적 지원이 유기적으로 필요함을 검증하며 학문적․실천적 방안을 제시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comparison of multi-groups in the form of facilities in long-term care institutions for the elderly in the impact of ESG activities in long-term care institution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workers in long-term care institutions for the elderly through the Long-Term Care Council, and focused on a total of 700 respondents. This study conducted causal structure verification and multi-group analysis through SPSS WIN 27.0 and Amos 27.0 programs. According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environmental (ß=.334, C.R=8.603, p<.001), social contribution (ß=0.373, C.R=9.055, p<0.001), and governance (ß=0.362, C.R=8.430, p<0.001)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addi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ulti-group comparison in the form of facilities in long-term care institutions for the elderly,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ctivitie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facility benefit institutions (β=0.499) was higher than that of home care benefit institutions (C.R=3.098, p<0.01), and the governance structure (β=0.452) was higher than that of home care benefit institutions (β=0.309) in facility benefit (C.R=7.069, p<0.001). On the other hand, in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both facility benefit (β=0.506) and home care benefit (β=0.351) groups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but the difference in influence between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R=1.908, p>0.05). Based on statistical results, the governance and academic and practical measures were presented to strengthen environmental activities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long-term care institutions for the elderly, revitalize social contribution with local communities, improve governance, and resolve the gap in ESG activities between facility benefit and home care benefit institutio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림. (2025).노인장기요양기관의 ESG활동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노인장기요양기관 시설형태의 다중집단분석 비교를 중심으로. 복지경영학연구, 14 (1), 149-170

MLA

김미림. "노인장기요양기관의 ESG활동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노인장기요양기관 시설형태의 다중집단분석 비교를 중심으로." 복지경영학연구, 14.1(2025): 149-1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