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합돌봄을 위한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역할과 응급안전안심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Role of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at Home for Integrated Care and the Activation of Emergency Safety Safety Services
- 발행기관
- 한국복지경영학회
- 저자명
- 정용충
- 간행물 정보
- 『복지경영학연구』복지경영학연구 제14권 제1호, 227~24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노인의 통합돌봄을 위한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역할과 응급안전안심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24년 11월 19일 Y시 응급안전서비스 담당자, 관련 부처 책임자, 이용 어르신 등 6명을 대상으로 Krueger와 Casey(2009)의 방법에 따라 개방형, 주요, 마무리 질문으로 구성된 반구조화된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중요 사항으로 정서적 안녕감과 라표형성이 중요한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둘째, 응급안전안심서비스는 다양한 안전장비와 신속한 대응체계 덕분에 어르신들에게 심리적 안정감과 높은 만족도를 제공하지만, 장비 분실․설치․오작동, 사용법 숙지 등 실무적 어려움과 불편도 함께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셋째, 서비스 대상자 범위 확대에 따른 맞춤형 관리와 지원 체계의 정교화가 필요함이 확인되었다. 이에,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통합돌봄 플랫폼을 구축과 연계, 재가노인복지서비스 기능강화, 응급안전안심서비스 장비 표준화와 AI 기반 예측 시스템 도입, 지역주민이 주도하는 돌봄 공동체 조성 등에 관한 정책 및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와 제언을 근거로 노인의 통합돌봄을 위한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역할과 응급안전안심서비스 활성화의 발판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ole of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at home for the integrated care of the elderly and how to activate emergency safety safety services. On November 19, 2024, this study conducted FGI for a total of 6 people, including emergency safety service managers, related department heads, and senior citizens, and conducted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confirmed that emotional well-being and label formation are important matters for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at home. Second, the emergency safety safety service provides the elderly with a sense of psychological stability and high satisfaction thanks to various safety equipment and rapid response systems, but it was confirmed that practical difficulties and inconveniences such as loss, installation, malfunction, and familiarity with how to use the equipment also appeared. 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was confirmed that more systematic management reinforcement and user-customized support were necessary. Third,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necessary to elaborate the customized management and support system according to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service targets. Therefor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policies and practical suggestions were made on the establishment and linkage of an integrated care platform, reinforcement of the function of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at home, standardization of emergency safety service equipment and introduction of an AI-based prediction system, and creation of a care community led by local resident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and suggestions, it is expected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role of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at home for the integrated care of the elderly and revitalization of emergency safety safety service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Ⅲ. 실증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직업능력이 장애인 근로자의 일상생활만족에 미치는 효과 분석: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한국복지경영학회의 도전과 과제
- 요양시설 인권교육과 서비스 품질과의 관계에서 요양보호사의 인권감수성과 인권컴플라이언스의 영향
- 정신장애인의 자립지원 관련 연구동향 분석: 등재학술지를 중심으로(2017-2024)
- 웰다잉서포터즈가 초고령재가노인의 죽음인식 변화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어르신인생노트사업 참여집단 사례를 중심으로
- 노후준비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과 가족 탄력성의 매개효과: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거주노인 비교
- 요양보호사의 직업정체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연구
- 사회복지사의 윤리의식이 자기효능감과 슈퍼비전을 조절된 매개로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노인장기요양기관의 ESG활동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노인장기요양기관 시설형태의 다중집단분석 비교를 중심으로
-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인권감수성 분석: J 지역 S노인보호전문기관 노인학대 사례를 중심으로
- 통합돌봄을 위한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역할과 응급안전안심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한부모가족에 대한 서비스 제공 경험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직업능력이 장애인 근로자의 일상생활만족에 미치는 효과 분석: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한국복지경영학회의 도전과 과제
- 요양시설 인권교육과 서비스 품질과의 관계에서 요양보호사의 인권감수성과 인권컴플라이언스의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