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요양보호사의 직업정체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 of Occupational Identity of Care Workers on Service Qualit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 발행기관
- 한국복지경영학회
- 저자명
- 이해형 김혜선
- 간행물 정보
- 『복지경영학연구』복지경영학연구 제14권 제1호, 123~14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직업정체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25년 1월에 진행되었으며, 요양보호사가 근무하고 있는 방문요양시설, 주․단기보호시설, 공동생활시설, 요양시설을 중심으로 경기도 지역 일대인 파주, 고양 등을 지역에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은 1:1 설문으로 진행이 되었으며, 총 194명의 요양보호사의 설문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과 통계적 방법은 SPSS 29.0를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인과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전문 조직 활용, 직업 윤리 의식 수준, 공공 서비스 신념, 직업 소명 의식, 자율성이 자기효능감과 서비스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확인했다. 또한, 요양보호사의 직업 정체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했다. 이를 바탕으로 요양보호사와 노인 돌봄 서비스 현장에 표준화된 교육과정 도입, 직업윤리 및 자율성 강화, 심리적 지원체계 구축, 사회적 인식 개선 등 실천적․정책적 방안이 함께 마련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main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effect of the job identity of nursing care workers on service quality. This study was conducted in January 2025, and surveys were conducted in Paju and Goyang in Gyeonggi-do, focusing on visiting care facilities, short-term care facilities, communal living facilities, and nursing facilities where nursing care workers work.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in a 1:1 questionnaire, and a total of 194 nursing care workers were surveyed. For the data analysis and statistical method of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causal relationship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9.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use of professional organizations, the level of professional ethics, the belief in public service, the sense of vocational calling, and the autonomy were confirm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fficacy and service quality. In add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was verified in the effect of the job identity of nursing care workers on service quality. Based on this, it was suggested that practical and policy measures such as introducing a standardized curriculum, strengthening work ethics and autonomy, establishing a psychological support system, and improving social awareness should be prepared together at the nursing care workers and elderly care service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직업능력이 장애인 근로자의 일상생활만족에 미치는 효과 분석: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한국복지경영학회의 도전과 과제
- 요양시설 인권교육과 서비스 품질과의 관계에서 요양보호사의 인권감수성과 인권컴플라이언스의 영향
- 정신장애인의 자립지원 관련 연구동향 분석: 등재학술지를 중심으로(2017-2024)
- 웰다잉서포터즈가 초고령재가노인의 죽음인식 변화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어르신인생노트사업 참여집단 사례를 중심으로
- 노후준비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과 가족 탄력성의 매개효과: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거주노인 비교
- 요양보호사의 직업정체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연구
- 사회복지사의 윤리의식이 자기효능감과 슈퍼비전을 조절된 매개로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노인장기요양기관의 ESG활동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노인장기요양기관 시설형태의 다중집단분석 비교를 중심으로
-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인권감수성 분석: J 지역 S노인보호전문기관 노인학대 사례를 중심으로
- 통합돌봄을 위한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역할과 응급안전안심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한부모가족에 대한 서비스 제공 경험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직업능력이 장애인 근로자의 일상생활만족에 미치는 효과 분석: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한국복지경영학회의 도전과 과제
- 요양시설 인권교육과 서비스 품질과의 관계에서 요양보호사의 인권감수성과 인권컴플라이언스의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