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부모가족에 대한 서비스 제공 경험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providing services to single-parent families
- 발행기관
- 한국복지경영학회
- 저자명
- 신희정
- 간행물 정보
- 『복지경영학연구』복지경영학연구 제14권 제1호, 249~27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부모가족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 종사자들이 한부모가족을 위해 어떻게 서비스 지원을 하고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한부모가족 관련 서비스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확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한부모가족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 전문가를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다. FGI 연구참여자들은 두 집단으로 구성하였는데, 한 집단은 다양한 유형의 한부모가족복지시설 전문가 집단이고, 다른 한 집단은 한부모가족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양한 유형의 이용시설 서비스 전문가 집단이다. 연구결과, ‘한부모가족의 경험과 특성에 대한 인식’, ‘한부모가족 문제와 욕구에 관한 인식’, ‘한부모가족 서비스 제공의 한계와 어려움’,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 등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한부모가족을 위한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사회에서 다차원적인 문제를 경험하는 대표적인 취약계층으로 인식되는 한부모가족의 서비스 개선을 위해 다양한 유형의 서비스 전문가들의 경험과 인식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한부모가족의 특성과 욕구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서비스 제공에서의 한계는 무엇인지를 통해 개선방안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향후 한부모가족 맞춤형 서비스를 위한 통합적 서비스 체계구축에서 다양한 전문가들의 역할과 기능에 관한 심층적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how service providers providing services to single-parent families provide service support to single-parent families. Based on this, we aim to secure basic data for developing improvement plans for single-parent family-related services.
To this end, FGI were conducted with service professionals who provide services for single-parent families. The FGI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consisted of professionals from various types of single-parent family welfare facilities(co-living institutions) and the other group consisted of professionals from various types of service facilities that provide services for single-parent families. The following themes emerged from the findings: perceptions of the experiences and characteristics of single-parent families, perceptions of the problems and needs of single-parent families, limitations and difficulties in providing services to single-parent families, and opinions on ways to improve servic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analyzed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different types of service professionals in order to improve services for single-parent families, who are recognized as a representative vulnerable group in our society experiencing multidimensional problems despite the expansion of services for single-parent families.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identify how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single-parent families are changing and what are the limitations in service provision. Based on this, it is hoped that in-depth research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on the roles and functions of various professionals in the construction of an integrated service system for tailored services for single-parent familie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직업능력이 장애인 근로자의 일상생활만족에 미치는 효과 분석: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한국복지경영학회의 도전과 과제
- 요양시설 인권교육과 서비스 품질과의 관계에서 요양보호사의 인권감수성과 인권컴플라이언스의 영향
- 정신장애인의 자립지원 관련 연구동향 분석: 등재학술지를 중심으로(2017-2024)
- 웰다잉서포터즈가 초고령재가노인의 죽음인식 변화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어르신인생노트사업 참여집단 사례를 중심으로
- 노후준비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과 가족 탄력성의 매개효과: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거주노인 비교
- 요양보호사의 직업정체성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연구
- 사회복지사의 윤리의식이 자기효능감과 슈퍼비전을 조절된 매개로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노인장기요양기관의 ESG활동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노인장기요양기관 시설형태의 다중집단분석 비교를 중심으로
-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인권감수성 분석: J 지역 S노인보호전문기관 노인학대 사례를 중심으로
- 통합돌봄을 위한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역할과 응급안전안심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한부모가족에 대한 서비스 제공 경험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직업능력이 장애인 근로자의 일상생활만족에 미치는 효과 분석: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한국복지경영학회의 도전과 과제
- 요양시설 인권교육과 서비스 품질과의 관계에서 요양보호사의 인권감수성과 인권컴플라이언스의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