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후준비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과 가족 탄력성의 매개효과: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거주노인 비교

이용수  0

영문명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and Family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paration for Old Age and Successful Aging: A Comparative Study of Urban and Rural Older Adults
발행기관
한국복지경영학회
저자명
염평열
간행물 정보
『복지경영학연구』복지경영학연구 제14권 제1호, 97~12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노후준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과 가족 탄력성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를 도시지역과 농촌지역 노인을 대상으로 비교하였다.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한국 사회에서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개인의 준비뿐만 아니라, 이를 둘러싼 사회적․가족적 요인의 역할도 중요하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와 경상남도 C군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주요 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노후준비는 성공적 노화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자본과 가족 탄력성은 이 관계를 매개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도시지역에서는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가 더 뚜렷하게 나타난 반면, 농촌지역에서는 가족 탄력성이 보다 강한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는 지역별로 노인의 사회적 환경과 가족 구조에 따라 노후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르게 작용함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으로는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노후준비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도시지역에서는 공동체 네트워크와 사회참여를 촉진하는 방안을, 농촌지역에서는 가족 기능 강화를 위한 복지서비스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회적 자본과 가족 탄력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통합적 접근이 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촉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retirement preparation on successful aging and investigates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and family resilience among older adults in urban and rural areas. As Korea experiences rapid population aging,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in old age requires attention not only to individual preparedness but also to surrounding social and familial factor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s of adults aged 65 and older residing in Daejeon (urban) and County C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rural),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for analysis. The findings indicate that retirement preparation significantly enhances successful aging, with social capital and family resilience serving as key mediators in this relationship. Notably, social capital showed a stronger mediating effect in urban areas, whereas family resilience had a more prominent role in rural areas. These differences suggest that the influence of social and family environments on aging outcomes varies by region. Based on these results, policy implications include developing region-specific retirement preparation programs. In urban settings, strategies should emphasize strengthening social networks and promoting civic engagement, while in rural areas, efforts should focus on enhancing family support systems. A comprehensive approach to bolstering social capital and family resilience can contribute meaningfully to promoting successful aging among older adult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염평열. (2025).노후준비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과 가족 탄력성의 매개효과: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거주노인 비교. 복지경영학연구, 14 (1), 97-122

MLA

염평열. "노후준비와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과 가족 탄력성의 매개효과: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의 거주노인 비교." 복지경영학연구, 14.1(2025): 97-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