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민속마을형 박물관 공동체의 지속을 위한 학예사의 역할 - 한국민속촌 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
이용수 0
- 영문명
- The Role of Curators in Sustaining Folk Village-Type Museum Communities - A Case Study of the Korean Folk Village Museum -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학회
- 저자명
- 나형남
- 간행물 정보
- 『박물관학보』제49호, 197~22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글은 민속마을형 박물관에 속한 공동체의 지속을 위해 학예사의 역할과 자질을 살펴보기 위한 연구이다. 민속마을형 박물관은 야외박물관의 한 유형으로서 전통적인 마을 공간이 구축되어 있고, 고유한 공동체가 지속하고 있는 형태이다. 단 민속마을형 박물관 공동체는 대부분 고령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외부지역에서의 유입을 기본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그러나 이 공동체는 고유한 마을문화 체계가 자리 잡고 있다는 점에서 단순 집합체와는 차이가 있다. 학예사는 박물관 공동체 지속을 위한 지원자, 연구자이자 함께 종사하는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활동한다. 야외박물관 공동체 지속을 위해 학예사는 공간과 공동체 구성원의 문화적 유래에 맞춰 그에 해당하는 연구영역을 설정해야 한다. 그리고 야외박물관 학예사는 연구영역에서 도출한 결과물을 대상 공간과 공동체 구성원에게 포용적인 이해자의 관점에서 전달해야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민속마을형 박물관의 학예사는 공동체 지속을 위한 적극적인 대응자세를 견지할 수 있는 심리적 훈련과 평생교육자로서의 소양을 갖출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roles and qualifications of curators in sustaining communities within folk village-type museums. A folk village-type museum is a form of open-air museum characterized by the reconstruction of traditional village spaces where unique local communities continue to exist. These communities are largely composed of elderly residents and generally accept new members from outside regions. However, unlike simple residential clusters, they possess distinct cultural systems rooted in traditional village life. Curators serve as supporters, researchers, and active members of the museum community, playing a vital role in its continuity. To sustain open-air museum communities, curators must define research areas that align with the cultural backgrounds of the spaces and their inhabitants. They are also responsible for conveying the outcomes of their research to both the community and the physical space with an inclusive and empathetic perspective. To fulfill this role effectively, curators in folk village-type museums need to undergo psychological training to foster proactive engagement and cultivate the competencies of lifelong educators, ensuring their capacity to contribute meaningfully to the sustainability of the community.
목차
Ⅰ. 서론
Ⅱ. 민속마을형 박물관 연구의 배경과 이론
Ⅲ. 민속마을형 박물관 학예사의 역할
Ⅳ. 민속마을형 박물관 학예사의 자질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쟁기념관에서 친사회적인 역사적 공감 형성 과정에 대한 질적 다중사례연구 - 인지적, 정서적, 인지-정서적 통합 차원의 학습 집단을 중심으로 -
- 진정으로 포용적인 박물관이란 무엇인가? - 포용적 박물관 조직과 운영을 위한 스코틀랜드국립박물관의 정책 사례 연구 -
- 프랑스 사회박물관의 역사적 흐름 고찰 - 사회적 실천의 장으로서 박물관의 역할 -
- 후암동 문화주택을 활용한 마을박물관 조성 방안 연구
- 박물관의 품질-가치-충성 연쇄 모형에 기반한 여성주의 전시 경험에 대한 실증적 분석 -《접속하는 몸: 아시아 여성 미술가들》사례 연구 -
- 경계를 넘는 큐레이팅과 한국계 미국인 정체성의 정치 - 서로문화연구회의 시각예술 실천을 중심으로 -
- 민속마을형 박물관 공동체의 지속을 위한 학예사의 역할 - 한국민속촌 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
- 국내외 박물관 전시·교육으로 살펴보는 전통문화 콘텐츠의 의미와 해석
- 아버지의 집, 아카이브의 집에 틈입하기 - 소피 칼과 수잔 힐러의 프로이트 박물관 전시 -
- 칠곡호국평화기념관에 재현된 전쟁 기억의 의미화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