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계를 넘는 큐레이팅과 한국계 미국인 정체성의 정치 - 서로문화연구회의 시각예술 실천을 중심으로 -
이용수 0
- 영문명
- Curating Across Borders and the Politics of Korean American Identity - A Case Study of the SEORO Korean Cultural Network’s Artistic Practice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학회
- 저자명
- 임수아
- 간행물 정보
- 『박물관학보』제49호, 171~19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980–90년대 뉴욕을 배경으로 활동한 예술가 집단인 서로문화연구회의 시각예술 실천과 전시기획을 중심으로, 한국계 미국인의 디아스포라 정체성과 문화적 자기표현의 형성 과정을 고찰한다. 서로문화연구회는 인종적 긴장과 제도적 배제가 심화된 사회정치적 맥락 속에서 등장하여, 공동체 기반의 전시를 통해 예술을 사회변화의 언어로 전환시켰다. 전시와 더불어 아카이브 실천에 있어서도 이들은 기록을 단순히 보존하는 데 그치지 않고, 기억을 재구성하고 공동체 서사를 회복하는 ‘살아 있는 장’으로 재개념화하였다. 디아스포라 정체성의 다층성과 유동성은 이들의 실험적 전시 전략과 집단 저작 방식 속에서 구체화되며, 탈식민적이고 참여 기반의 대안적 큐레이션 담론과 깊이 교차된다. 본 논문은 시각자료 분석, 구술사, 문헌 고찰으로 서로문화연구회의 실천이 상호문화적 연대, 인종 간 갈등, 이주 경험 등 다양한 주제를 어떻게 담아냈는지를 분석하고, 이들의 전시가 미술 제도 바깥에서 수행한 사회적 역할을 조명한다. 더불어, 타 아시아계 미국인 예술가 네트워크와의 연계 및 공동 실천 양상도 함께 살펴봄으로써, 이 단체의 활동이 동시대 큐레이션 실천에 유의미한 방법론적 유산을 제공함을 주장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curatorial and artistic practices of the SEORO Korean Cultural Network, a collective of Korean and Korean American artists active in 1980s–1990s New York, to explore how they shaped Korean American identity through visual strategies and community-based exhibitions. Formed in response to racial tensions, urban marginalization, and institutional exclusion, SEORO's work challenged dominant narratives by reclaiming authorship and constructing transnational spaces of resistance.Through exhibitions, archives, and collaborative programming, the collective activated curatorial practice as a political and ethical form of care—foregrounding memory, diaspora, and collective authorship. Their curatorial methodology, rooted in relational practice and anti-essentialist critique, prefigures contemporary decolonial and participatory frameworks. Drawing from archival research, oral histories, and visual analysis, this paper situates SEORO within broader Asian American cultural networks, arguing that their practice offers a vital model for curating across borders. Ultimately, SEORO’s legacy demonstrates how artistic practice, when grounded in diasporic experience and grassroots collaboration, can become a transformative force of world-making and remembrance.
목차
Ⅰ. 서론
Ⅱ. 서로문화연구회(SEORO Korean Cultural Network)의 창립
Ⅲ.《Across the Pacific》: 예술 협업과 전시 기획에의 영향
Ⅳ. 아시아계 미국인 예술 네트워크와의 관계
Ⅴ. 학문적 지형에서의 서로문화연구회
Ⅵ. 기억의 가시화를 통한 서로문화연구회의 미래
Ⅶ.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쟁기념관에서 친사회적인 역사적 공감 형성 과정에 대한 질적 다중사례연구 - 인지적, 정서적, 인지-정서적 통합 차원의 학습 집단을 중심으로 -
- 진정으로 포용적인 박물관이란 무엇인가? - 포용적 박물관 조직과 운영을 위한 스코틀랜드국립박물관의 정책 사례 연구 -
- 프랑스 사회박물관의 역사적 흐름 고찰 - 사회적 실천의 장으로서 박물관의 역할 -
- 후암동 문화주택을 활용한 마을박물관 조성 방안 연구
- 박물관의 품질-가치-충성 연쇄 모형에 기반한 여성주의 전시 경험에 대한 실증적 분석 -《접속하는 몸: 아시아 여성 미술가들》사례 연구 -
- 경계를 넘는 큐레이팅과 한국계 미국인 정체성의 정치 - 서로문화연구회의 시각예술 실천을 중심으로 -
- 민속마을형 박물관 공동체의 지속을 위한 학예사의 역할 - 한국민속촌 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
- 국내외 박물관 전시·교육으로 살펴보는 전통문화 콘텐츠의 의미와 해석
- 아버지의 집, 아카이브의 집에 틈입하기 - 소피 칼과 수잔 힐러의 프로이트 박물관 전시 -
- 칠곡호국평화기념관에 재현된 전쟁 기억의 의미화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