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ctivities of the Weights and Measures under the USAMGIK and Attempts to Establish a Research and Standards
- 발행기관
- 한국근현대사학회
- 저자명
- 金東仙(Dong-su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근현대사연구』제114집, 65~112쪽, 전체 4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9.30
8,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미군정청의 도량형소는 통치 및 상업활동의 효율성을 위해 존재했다는 점에서 조선총독부의 그것과 같은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미군정청 도량형소는 그 일제강점기 도량형소와 다른 지향점을 가지고 있었다. 미군정은 도량형소를 여타 관련 기관과 연결하여 기관을 만들고자 하였다.
미군정은 도량형소를 식민지기와는 완전히 다른 성격의 기관으로 바꾸려하였다. 상무부 내에 있던 중앙공업연구소와 다른 기관들의 연구기관을 도량형소와 합해 미국 표준국과 같은 중앙표준국을 설립하려 했던 것이다. 미군정이 구상한 표준국은 단순히 상업활동 및 행정적인 이유에서 도량형 기구를 관리하는 기관이 아니었다. 이 기구는 한국의 산업과 과학, 기술개발을 지원하는목적을 가진 기구였다. 이 시도가 성공했다면 중앙표준국은 한국에서 가장 핵심적인 과학기술 기구가 되었을 것이다. 표준국 설립이 왜 실패했는지 원인은 분명하지 않다. 그러나 상무부 주도의 중앙표준국 설립에 다른 관련 부서들의불만이 한 원인이 되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 결과 이 시기 한국의 국가표준업무는 분산되었고, 산업기술 지도와 공학관련 업무는 중앙공업연구소에서 수행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미군정기 도량형소의 활동과 중앙표준국의 설립 시도는 해방이후 공업기술정책 분야의 일제청산 및 독립 과정과 방향성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당시 이러한 움직임은 대한민국수립 이후 도량형 제도와상공업 관련 정책 및 향후 한국의 연구기관 설립 과정에 영향을 미쳤다.
영문 초록
The Weights and Measures Bureau of USAMGIK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shared the same purpose as its predecessor under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that it existed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governance and commercial activities. However, the Bureau under USAMGIK pursued a different direction. USAMGIK aimed to transform the Bureau into a new kind of institution by linking it with other related organizations.
Unlike its colonial-era counterpart, USAMGIK sought to redefine the Weights and Measures Bureau as an institution of a fundamentally different nature. It attempted to integrate the Bureau with research institutions such as the Central Industrial Research Institute within the Ministry of Commerce and Industry, with the goal of establishing a centralized agency for Research and Standards, modeled after the National Bureau of Standards (NBS) in the United States. The envisioned agency was not merely an administrative body managing measuring instruments for commercial and bureaucratic purposes. Rather, it was designed to support Korea’s industrial development, scientific advancement,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Had this effort succeeded, Research and Standards would likely have become Korea’s most essential institu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The reasons for the failure to establish the Bureau of Research and Standards remain unclear. However, it is presumed that discontent among other government departments toward the Ministry of Commerce and Industry’s leading role in the initiative may have been one of the contributing factors. As a result, Korea’s national standards functions during this period became fragmented. The Central Industrial Research Institute took on the responsibilities of industrial technology guidance and engineering-related affairs.
Nevertheless, the activities of the Weights and Measures Bureau under USAMGIK and the attempt to establish the Bureau of Research and Standards, illustrate the efforts to break away from the colonial legacy and to pursue independence in the field of industrial technology policy following liberation. These movements later influenced the formulation of the post-liberation measurement system, industrial and commercial policy, and the establishment of scientific research institutions in the Republic of Korea.
목차
1. 머리말
2. 일제강점기 도량형제도와 도량형소
3. 미군정기 도량형소의 역할
4. 중앙표준국 설립 구상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