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쟁기념관에서 친사회적인 역사적 공감 형성 과정에 대한 질적 다중사례연구 - 인지적, 정서적, 인지-정서적 통합 차원의 학습 집단을 중심으로 -

이용수  0

영문명
A Qualitative Multiple Case Study on the Formation of Prosocial Historical Empathy at the War Memorial of Korea - Focusing on Cognitive, Affective, and Integrated Cognitive-Affective Learning Groups -
발행기관
한국박물관학회
저자명
홍수정 신태섭
간행물 정보
『박물관학보』제49호, 1~2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역사적 공감은 역사적 인물과 사건에 대한 인지 및 정서적 이해를 바탕으로한 윤리적 사고를 통해 시민으로서 공동체에 기여하는 태도를 기른다. 그러나 학습자들이 직접 경험하지 않은 전쟁과 같은 부정적 역사에 공감하는 데는 한계가 있고, 전쟁기념관은 전시 자료를 통해 당시 역사적 인물과 사건에 대한 지식과 감정 이입을 자극하며 도덕적 판단력과 시민성을 함양하는 교육 공간으로 기능하지만, 이러한 과정이 감정적으로 치우칠 수 있으며 역사적 사건의 복잡성과 다양한 관점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쟁기념관 <국군포로존> 전시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이 역사적 공감을 어떻게 형성하고, 학습 접근 방식(인지적, 정서적, 인지-정서적 통합)에 따라 그 과정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비교․분석하였다. 특히 신경과학, 역사교육, 박물관학 등 다학제적 관점을 바탕으로, 역사적 공감이 인지, 정서, 친사회적 관심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친사회적 태도와 행동으로 발전한다는 이론적 근거에 따라 그 과정을 질적으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15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학습 접근 방식을 달리 실시하고, 총 30명을 인터뷰한 뒤, 다중사례연구 방법을 통해 각 집단의 역사적 공감 형성 과정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집단에서 인지, 정서, 친사회적 관심이 유기적으로 작용하며 친사회적인 역사적 공감이 형성되었고, 특히 인지-정서적 통합 학습 집단에서는 과거 맥락에 대한 깊은 이해와 감정적 반응이 친사회적 관심을 강화하며, 윤리적 행동과 실천 의지로 이어지는 모습을 보였다. 이 과정에서 전시실 내 시청각 자료와 실제 기록 기반의 전시물이 감정 이입을 유도하고 정서적 몰입과 공감 형성에 중요한 촉매 역할을 했다. 이를 통해 전쟁기념관 전시를 기반으로 한 인지와 정서의 균형 잡힌 학습이 역사적 맥락 이해와 공감 형성을 촉진하고, 궁극적으로 시민적 태도와 실천으로 확장되는 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how sixth-grade students develop historical empathy through cognitive, affective, and integrated cognitive-affective learning approaches using the “POW Zone” exhibition at the War Memorial of Korea. Drawing on perspectives from neuroscience, history education, and museum studies, it explores how the interaction of cognitive understanding, emotional engagement, and prosocial concern contributes to fostering civic attitudes and moral awareness. A qualitative multi-case study was conducted with 150 students, including in-depth interviews with 30 participants. Findings show that all groups demonstrated prosocial historical empathy through the interplay of cognition and emotion, with the integrated group showing the most significant development in moral reflection and civic action. Audiovisual materials in the exhibition played a key role in promoting emotional immersion and empathy, highlighting the effectiveness of balanced cognitive-emotional learning in museum-based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수정,신태섭. (2025).전쟁기념관에서 친사회적인 역사적 공감 형성 과정에 대한 질적 다중사례연구 - 인지적, 정서적, 인지-정서적 통합 차원의 학습 집단을 중심으로 -. 박물관학보, (), 1-28

MLA

홍수정,신태섭. "전쟁기념관에서 친사회적인 역사적 공감 형성 과정에 대한 질적 다중사례연구 - 인지적, 정서적, 인지-정서적 통합 차원의 학습 집단을 중심으로 -." 박물관학보, (2025): 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