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진정으로 포용적인 박물관이란 무엇인가? - 포용적 박물관 조직과 운영을 위한 스코틀랜드국립박물관의 정책 사례 연구 -
이용수 0
- 영문명
- What is a Truly Inclusive Museum? - A case study on National Museums Scotland’s policy and practice for inclusive museum organisation and operation -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학회
- 저자명
- 문근실
- 간행물 정보
- 『박물관학보』제49호, 57~8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박물관의 사회 포용(Social Inclusion) 정책이 시작된 초장기부터 현재까지도, 포용성 관련 업무는 주로 기존에 소외되었던 사람들의 접근성을 확대하고, 그들을 대상으로 하는 각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참여를 고무하고, 그간 박물관 내러티브(narrative)에 대표되지 못했던 이들의 이야기를 포함시키는 등 관람객(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과 실행에 집중해 왔다. 하지만 최근 영국의 박물관들은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박물관 조직 자체와 운영 측면에서 평등․다양성․포용성(Equality, Diversity and Inclusion)의 원칙을 박물관 업무 전반에 내재시켜 진정으로 포용적인 박물관으로 거듭나기 위해 분투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포용적인 사회를 만들기 위해 영국 및 스코틀랜드 정부가 박물관을 비롯한 공공기관에 부여한 법적 의무인 ‘공공분야 평등 의무’를 소개하고, 이러한 의무를 토대로 스코틀랜드국립박물관이 더 평등하고 다양성을 존중하는 포용적인 조직으로 변화하기 위해 어떠한 정책을 수립하여 실행하고 있는지 심층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한국 박물관이 포용성을 확장해 나가는 데 도움이 되리라 여겨지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Since the beginning of social inclusion in museums, the inclusion policy and practice of a museum have mainly focused on works aimed at audiences, the public; to improve museum access of the people previously marginalised; to develop various programmes for those people and to encourage them to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and to include their stories in museum narratives. However, public museums in the UK have recently taken another step forward to transform themselves into a truly inclusive museum in terms of organisation and operation, embedding equality, diversity and inclusion in all aspect of their business. In this paper, I firstly introduce the statutory obligation, Public Sector Equality Duty, which is imposed on public institutions and organisations including museums by the UK and the Scottish governments to make a society more inclusive. Secondly, the National Museums Scotland’s policy and practice based on the duty are scrutinised; how they strive to transform themselves into a more equitable, diverse and inclusive organisation. Finally, I suggest an implication that could be helpful for Korean museums to enlarge their inclusion policies and practices.
목차
Ⅰ. 서론
Ⅱ. 영국의 공공분야 평등 의무
Ⅲ. 스코틀랜드국립박물관의 정책 및 실행
Ⅳ. 결론 : 요약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전쟁기념관에서 친사회적인 역사적 공감 형성 과정에 대한 질적 다중사례연구 - 인지적, 정서적, 인지-정서적 통합 차원의 학습 집단을 중심으로 -
- 아버지의 집, 아카이브의 집에 틈입하기 - 소피 칼과 수잔 힐러의 프로이트 박물관 전시 -
- 진정으로 포용적인 박물관이란 무엇인가? - 포용적 박물관 조직과 운영을 위한 스코틀랜드국립박물관의 정책 사례 연구 -
- 프랑스 사회박물관의 역사적 흐름 고찰 - 사회적 실천의 장으로서 박물관의 역할 -
- 후암동 문화주택을 활용한 마을박물관 조성 방안 연구
- 박물관의 품질-가치-충성 연쇄 모형에 기반한 여성주의 전시 경험에 대한 실증적 분석 -《접속하는 몸: 아시아 여성 미술가들》사례 연구 -
- 경계를 넘는 큐레이팅과 한국계 미국인 정체성의 정치 - 서로문화연구회의 시각예술 실천을 중심으로 -
- 민속마을형 박물관 공동체의 지속을 위한 학예사의 역할 - 한국민속촌 박물관 사례를 중심으로 -
- 칠곡호국평화기념관에 재현된 전쟁 기억의 의미화 연구
- 국내외 박물관 전시·교육으로 살펴보는 전통문화 콘텐츠의 의미와 해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