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문화 수용태도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s amo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유위 왕신계 최지영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18권 제2호, 189~20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이중문화 수용태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문화 수용태도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 이상의 학술논문과 국내 박사학위 논문 78편을 대상으로 기술적 통계분석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중문화 수용태도에 대한 연구는 2010년 이후 증가하였으며, 특히 2020년 이후 급격한 증가 추세를 보였다. 둘째, 연구방법은 모든 연구가 양적연구로 수행되었으며, 주로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를 활용하였다. 셋째, 주요 키워드 분석결과 ‘다문화 청소년’, ‘자아존중감’, ‘문화적응 스트레스’ 등이 높은 출현빈도를 보였다. 넷째, ‘이중문화 수용태도’, ‘다문화 청소년’, ‘자아존중감’,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이 모두 높은 값을 보이는 키워드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문화 수용태도에 관한 국내연구의 동향을 규명함으로써 이중문화 수용태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trends in domestic research o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s in order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in this field. A total of 78 articles, including journal papers published in journals index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and domestic doctoral dissertation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language network analysi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s has increased since 2010, with a particularly rapid growth observed after 2020. Second, all studies employe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primarily utilizing multicultural youth panel data. Third, keyword analysis revealed that "multicultural youth," "self-esteem," and "acculturative stress" appeared with high frequency. Fourth,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multicultural youth," "self-esteem," and "acculturative stress" were identified as keywords with high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s domestic research trends o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s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s and provide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the fiel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해석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기도 초·중학교 다문화학생 비율 상한제에 대한교원 인식 조사 연구
- Barriers to Academic and Social Integration: An Integrative Review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Experiences in South Korea
- 몽골 대학생이 지각한 성인애착과 정서표현 양가성 및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
- 외국인 가정 자녀의 한국 공립 학교 교육에 관한 학부모의 경험 분석
- 장기거주 외국인 가족과 관련 전문가의 요구: 생활 적응 및 지원방안을 중심으로
- 고등학교 시기의 다문화청소년지원정책 참여가 학업지속의향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전라남도 도서지역의 다문화 초등학생을 위한 블렌디드 진로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문화 수용태도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매체 기반 다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협력적 자문화 기술지: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비정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학교급과 다문화교육경험에 따른 혐오표현 및 차별행위의 차이: 서울시 초중고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