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기거주 외국인 가족과 관련 전문가의 요구: 생활 적응 및 지원방안을 중심으로
이용수 6
- 영문명
- Addressing the Needs of Long-term Foreign Resident Families and Professionals with a Focus on Living Adaptation and Support Strategies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오정숙 장흔성 김옥녀 강복정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18권 제2호, 1~36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에 장기 거주하는 외국인 가족의 생활 적응 실태와 어려움을 분석하고, 이들을 지원하는 현장 전문가들의 경험과 요구를 바탕으로 실효성 있는 지원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주형 체류자격을 가진 외국인 가족 33명과 지원 전문가·실무자 13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고, 질적 분석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장기거주 외국인 가족들은 생활 인프라, 교육환경, 소득 수준에는 대체로 만족했지만, 의료·교육 서비스 부족, 주거비 부담, 외국인 차별 등 거주지에 따른 어려움이 나타났다. 특히 자녀 교육 과정에서 부모 역할에 대한 부담, 정보 부족, 높은 사교육비가 큰 스트레스 요인이었으며, 복잡한 비자 연장과 체류 절차도 지속적인 부담으로 작용했다. 한국어 능력이 부족한 가족은 지역사회에서 고립되거나 심리적 위축을 겪는 경우도 많았다. 전문가들은 단기 적응 중심의 기존 정책으로는 장기거주 가족들의 복합적 요구를 해결하기 어렵다며, 교육·주거·복지·지역사회 참여 전반을 아우르는 장기적·종합적 지원 정책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adaptation challenges of long-term resident foreign families in Korea and gathers insights from professionals to propose effective support measures. In-depth interviews with 33 foreign families and 13 professionals revealed that while families appreciated Korea’s infrastructure, education, and income levels, those in rural areas faced difficulties such as limited healthcare, high housing costs, and discrimination. Parents reported stress over education due to lack of information and high private education costs. Visa renewals and administrative processes caused ongoing stress, while limited Korean proficiency led to social isolation. Professionals noted that policies focused on short-term adaptation, while overlooking long-term needs. A shift toward comprehensive, life-cycle-based support, developed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frontline professionals, is needed and essential for stable settlement and Korea’s sustainable multicultural develop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기도 초·중학교 다문화학생 비율 상한제에 대한교원 인식 조사 연구
- Barriers to Academic and Social Integration: An Integrative Review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Experiences in South Korea
- 몽골 대학생이 지각한 성인애착과 정서표현 양가성 및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
- 외국인 가정 자녀의 한국 공립 학교 교육에 관한 학부모의 경험 분석
- 장기거주 외국인 가족과 관련 전문가의 요구: 생활 적응 및 지원방안을 중심으로
- 고등학교 시기의 다문화청소년지원정책 참여가 학업지속의향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전라남도 도서지역의 다문화 초등학생을 위한 블렌디드 진로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문화 수용태도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매체 기반 다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협력적 자문화 기술지: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비정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학교급과 다문화교육경험에 따른 혐오표현 및 차별행위의 차이: 서울시 초중고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