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급과 다문화교육경험에 따른 혐오표현 및 차별행위의 차이: 서울시 초중고생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Hate Speech and Discriminatory Behavior by School Level and Multicultural Education Experiences: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이규빈 박희진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18권 제2호, 269~29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서울 지역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혐오표현 및 차별적 행위의 실태를 파악하고, 학교급 및 다문화교육 경험이 이러한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서울특별시교육청 소속 학생 11,1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학교급과 다문화교육 경험을 중심으로 차별행위의 빈도와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혐오표현과 차별가해 경험 모두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빈도가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다문화교육을 경험한 학생은 차별 행위의 빈도가 낮았으나, 회귀분석에서 나타난 효과 크기는 제한적이었다. 학교급과 다문화교육 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점은, 현재의 다문화교육이 학교급에 따라 차별적으로 기능하지 않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의 다문화교육이 여전히 당위적이고 형식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교육내용과 교사 역량 측면에서 구조적 개선이 필요함을 뒷받침한다. 특히 전 학령기를 아우르는 지속가능하고 실천 중심의 비판적 다문화교육으로의 전환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차별행위 실태와 다문화교육의 한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교육정책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hate speech and discriminatory behavior among students in Seoul, South Korea, focusing on differences by school level and the influe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 total of 11,107 students from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under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analysis revealed that both hate speech and discriminatory behavior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school level. Students with prior experience in multicultural education reported lower frequencies of discriminatory behavior, but the magnitude of the effects were statistically modest. Furthermore, no significant interaction was found between school level and multicultural education, suggesting that the current multicultural education system does not function differentially across school levels. These findings align with previous studies criticizing the formalistic and superficial natur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where it often remains event-based or declarative, lacking practical depth or critical engagement.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a fundamental transform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toward a critical and action-oriented model, emphasizing sustained civic responsibility and social inclusion. It contributes empirical evidence to inform education policy aimed at reducing discrimination and fostering inclusive citizenship among youth in Seoul.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Ⅱ. 선행 연구 분석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기도 초·중학교 다문화학생 비율 상한제에 대한교원 인식 조사 연구
- Barriers to Academic and Social Integration: An Integrative Review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Experiences in South Korea
- 몽골 대학생이 지각한 성인애착과 정서표현 양가성 및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
- 외국인 가정 자녀의 한국 공립 학교 교육에 관한 학부모의 경험 분석
- 장기거주 외국인 가족과 관련 전문가의 요구: 생활 적응 및 지원방안을 중심으로
- 고등학교 시기의 다문화청소년지원정책 참여가 학업지속의향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전라남도 도서지역의 다문화 초등학생을 위한 블렌디드 진로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문화 수용태도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매체 기반 다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협력적 자문화 기술지: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비정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학교급과 다문화교육경험에 따른 혐오표현 및 차별행위의 차이: 서울시 초중고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