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라남도 도서지역의 다문화 초등학생을 위한 블렌디드 진로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Development and Effect Analysis of the Blended Career Mentoring Program(BCMP) for Multicultu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Island Region of Jeollanam-do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선곡유화 서우석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18권 제2호, 117~155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전남 도서지역 다문화 초등학생을 위한 블렌디드 진로멘토링 프로그램(Blended Career Mentoring Program, 이하 BCMP)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교수체제설계(ISD, instructional systems design) 모형을 기반으로 분석-설계-개발-실행-평가 단계를 거쳐 BCMP를 개발하고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BCMP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혼합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멘티의 진로개발역량과 진로장벽 변화를 준거로 단일집단 사전-사후 실험을 수행하였다. BCMP 적용은 전남 도서지역 다문화 초등학생 멘티와 초등 예비교사 멘토가 1:1로 결연되어 온·오프라인에서 총 12회 운영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첫째, 개발된 BCMP는 높은 내적 타당도(CVR=.947)를 확보하였다. 둘째, BCMP는 멘티의 진로개발역량 증진과 진로장벽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문화 초등학생을 위한 맞춤형 진로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실천 가능한 멘토링 모델을 제시하는 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끝으로, 후속 연구로는 다양한 지역의 다문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효과 검증 연구를 통해 BCMP의 일반화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또한 멘티의 장기적 진로발달을 추적하는 종단 연구도 주요 과제로 제안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a Blended Career Mentoring Program (BCMP) for multicultu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island regions of Jeollanam-do, South Korea. Based on the instructional systems design (ISD) model, the BCMP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through the stages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BCMP, a mixed-method research approach was used, and a one-group pretest-posttest experiment was conducted to measure changes in mentee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and career barriers. The BCMP was implemented over 12 sessions, both online and offline, through one-on-one mentoring between multicultural elementary school mentees an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 mentors.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ed BCMP demonstrated high internal validity (CVR = .947). Second, the BCMP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mentee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and a reduction in perceived career barriers. These results highlight the need for customized career mentoring programs for multicultu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uggest a practical mentoring model. Finally, further research should focus on verifying the generalizability of BCMP by conducting studies with multicultural elementary students in diverse regions. Additionally, a longitudinal study tracking the long-term career development of mentees is suggested as an important area for further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III. 진로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 연구
Ⅳ. 진로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기도 초·중학교 다문화학생 비율 상한제에 대한교원 인식 조사 연구
- Barriers to Academic and Social Integration: An Integrative Review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Experiences in South Korea
- 몽골 대학생이 지각한 성인애착과 정서표현 양가성 및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
- 외국인 가정 자녀의 한국 공립 학교 교육에 관한 학부모의 경험 분석
- 장기거주 외국인 가족과 관련 전문가의 요구: 생활 적응 및 지원방안을 중심으로
- 고등학교 시기의 다문화청소년지원정책 참여가 학업지속의향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전라남도 도서지역의 다문화 초등학생을 위한 블렌디드 진로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문화 수용태도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매체 기반 다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협력적 자문화 기술지: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비정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학교급과 다문화교육경험에 따른 혐오표현 및 차별행위의 차이: 서울시 초중고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