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국인 가정 자녀의 한국 공립 학교 교육에 관한 학부모의 경험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 Analysis of Parental Experiences Regarding the Education of Children from Foreign Families in Korean Public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곽연륜 이채린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18권 제2호, 157~18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공교육 제도 내에서 자녀를 교육하고 있는 외국인 학부모의 경험을 탐색하고, 그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명의 외국인 학부모를 대상으로 개별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외국인 학부모들은 자녀가 초등학교에 입학한 이후 또래 학생들과의 학력 격차를 경험하였으며, 교사의 다문화 역량에 따라 자녀의 교육 경험이 크게 달라진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외국인 학부모들은 자녀의 교육 과정을 통해 한국과 모국 간 교육문화의 차이를 뚜렷하게 체감하였으며, 이러한 차이에 대한 수용과 해석은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학부모들은 한국 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자녀의 교육을 지속하기 위해 장기 거주를 희망하고 있었으며, 심리적 어려움 속에서도 공교육 체제 내에서 적응하고자 하는 강한 생존 의지와 회복 탄력성을 보였다. 이러한 외국인 학부모의 경험을 바탕으로 우리 교육문화의 한계를 성찰하고 이주배경학생 교육정책의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또한 외국인 학생 교육에서 능동적 주체로서의 외국인 학부모의 역할을 확인하였으며, 공교육 내 포용성 강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experiences of foreign parents who are educating their children within the Korean public education system.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foreign paren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after entering elementary school, foreign children experienced academic gaps compared to their peers, and their educational experiences vari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multicultural competence of their teachers. Furthermore, the parents perceived considerabl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the educational practices of Korea and those of their home countries, and their acceptance and interpretation of these differences varied in many ways. Generally, foreign parents expressed a desire for long-term residence in Korea to ensure stable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their children and demonstrated strong resilience to survive despit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challenges. Based on their experiences, the study reflects on the limitations of Korean educational culture and seeks new directions for policies supporting students from immigrant backgrounds. It also highlights the active role of foreign parents as agents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and offers policy implications for strengthening inclusivity within the public education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경기도 초·중학교 다문화학생 비율 상한제에 대한교원 인식 조사 연구
- Barriers to Academic and Social Integration: An Integrative Review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Experiences in South Korea
- 몽골 대학생이 지각한 성인애착과 정서표현 양가성 및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
- 외국인 가정 자녀의 한국 공립 학교 교육에 관한 학부모의 경험 분석
- 장기거주 외국인 가족과 관련 전문가의 요구: 생활 적응 및 지원방안을 중심으로
- 고등학교 시기의 다문화청소년지원정책 참여가 학업지속의향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전라남도 도서지역의 다문화 초등학생을 위한 블렌디드 진로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문화 수용태도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매체 기반 다문화 교사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협력적 자문화 기술지: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비정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학교급과 다문화교육경험에 따른 혐오표현 및 차별행위의 차이: 서울시 초중고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