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등학교 시기의 다문화청소년지원정책 참여가 학업지속의향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6

영문명
The Impact of Multicultural Youth Policy Participation during High School on Academic Persistence Intentions and College Adaptation
발행기관
한국다문화교육학회
저자명
고수민 이아란
간행물 정보
『다문화교육연구』제18권 제2호, 61~8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를 활용하여 고등학교 시기 다문화청소년지원정책 참여가 후기청소년기 다문화청소년의 학업지속의향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내적 타당성 확보를 위해 기초 회귀모형, 주요 배경변수를 통제한 회귀모형, 성향점수매칭(PSM)을 단계적으로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고등학교 시기의 정책 참여는 학업지속의향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책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의 학업지속의향 평균값이 매우 낮았는데, 이는 정책에 참여하지 않는 학생이 정책에 참여한 학생에 비해 중도 탈락 위험이 높음을 시사한다. 둘째, 정책 참여는 후기청소년기 다문화청소년의 학업적 적응과 사회적 적응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정책 참여 여부 자체보다 개인의 학업역량, 사회적 관계, 가정 배경 등 환경적 요인이 다문화청소년의 대학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시기 정책 참여 효과를 후기청소년기 이후까지 확장하여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화된다. 이를 통해 정책의 단기적 개입을 넘어, 후기청소년기의 발달 특성과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지속적 지원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multicultural youth policy participation during high school on academic persistence intentions and college adaptation among multicultural youth in late adolescence, using data from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To ensure internal validity, the analysis was conducted in three stages: a basic regression model, a model controlling for background variables, and a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approach. Findings indicate that policy participation significantly enhances academic persistence intentions.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olicy showed lower levels of persistence intentions, suggesting a higher risk of academic dropout. However,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policy participation and either academic or social aspects of college adaptation, implying that individual, social, and familial factors play a more substantial role in shaping college adaptation outcomes. By extending the scope of analysis into late adolescence,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continuous, developmentally appropriate support that reflects the evolving needs of multicultural youth and fosters their sustained engagement in higher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고찰
Ⅲ. 분석 자료
Ⅳ. 분석 방법
Ⅴ. 연구결과
VI.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수민,이아란 . (2025).고등학교 시기의 다문화청소년지원정책 참여가 학업지속의향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교육연구, 18 (2), 61-88

MLA

고수민,이아란 . "고등학교 시기의 다문화청소년지원정책 참여가 학업지속의향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교육연구, 18.2(2025): 61-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