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등학생의 상대적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 스마트폰 의존 및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Perceived Relative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Moderated mediating effects of smartphone dependence and depression
- 발행기관
-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 저자명
- 차은진 김미례
- 간행물 정보
- 『교류분석상담연구』제15권 제1호, 53~7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비교이론의 관점에서 청소년이 지각하는 상대적 행복감, 스마트폰 의존, 삶의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우울이 상대적 행복감과 스마트폰 의존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상대적 행복감은 스마트폰 의존과 삶의 만족도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스마트폰 의존은 상대적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3) 우울은 상대적 행복감과 스마트폰 의존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가? (4) 우울 수준에 따라 스마트폰 의존의 매개 효과가 달라지는가? 분석 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공표한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조사 2018 (KCYPS 2018)의 중학교 1학년 패널 제5차 연도 자료(2022년 자료)이며, 연구 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SPSS PROCESS macro의 제1번, 제4번 및 제7번 모델을 사용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된 상대적 행복감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도가 더 높았다. 둘째, 인지된 상대적 행복감, 스마트폰 의존, 삶의 만족도 간에 유의한 정적 관련성이 확인되었다. 셋째, 우울은 인지된 상대적 행복감과 스마트폰 의존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넷째, 우울의 수준에 따라, 인지된 상대적 행복감과 스마트폰 의존 및 삶의 만족도 간의 관련성이 유의하게 달랐다. 끝으로,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삶의 만족도 증진을 위한 이론적 함의 및 실천적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상담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perceived relative happiness, smartphone dependence, and life satisfa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omparison theory, and to examine whether depression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relative happiness and smartphone dependence. The data for the analysis is the fifth year data of the middle school first grade panel of KCYPS 2018, and the fourth and first models of the SPSS PROCESS macro were used to test the research model. The main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higher perceived relative happiness was associated with greater life satisfaction Second, smartphone dependence mediated this relationship. Third, depress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relative happiness and smartphone dependence. Fourth, depending on the level of depression, the effect of perceived relative happiness on life satisfaction mediated by smartphone dependence differed significantly. Finally, based on the above finding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enhancing life satisfaction a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류분석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독거노인의 인생태도, 우울, 자아통합에 미치는 효과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고등학생의 상대적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 스마트폰 의존 및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교류분석 이론 기반 성격적응, 자아상태, 인생태도의 관계 분석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인간-동물 상호작용이 1인 가구주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고독감, 불안, 우울의 매개효과-
- 성인 장애인의 자살 생각에 미치는 위험 영향: 개인 심리적, 사회적, 사회적 지지 요인을 중심으로
- 교류분석의 성격적응 유형과 불교의 탐진치와의 관계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교류분석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독거노인의 인생태도, 우울, 자아통합에 미치는 효과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고등학생의 상대적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 스마트폰 의존 및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