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 동료교사협력, 원장의 코칭리더십, 교사부모협력이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
- 영문명
-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Creativity, Peer Teacher Cooperation, Director's Coaching Leadership, and Teacher Parent Cooperation on Curriculum Management Autonomy
- 발행기관
- 한국부모교육학회
- 저자명
- 권윤미 김지현
- 간행물 정보
- 『부모교육연구』제22권 제2호, 199~22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에 대한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과 동료교사협력, 원장의 코칭리더십, 교사부모협력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어린이집 및 유치원에서 만 3, 4, 5세를 교육하고 있는 유아교사 505명을 연구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해 연구를 실시하였다.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 척도, 교사창의성 척도, 교사협력 진단 척도, 원장의 코칭리더십 척도, 교사부모협력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상관분석 및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 동료교사협력, 원장의 코칭리더십, 교사부모협력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에 대해서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 동료교사협력, 교사부모협력, 원장의 코칭리더십 순으로 영향력을 가진다. 이는 현장에 적합한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이 발휘될 수 있도록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을 향상시키려는 노력과 더불어, 동료교사와의 협력이 이루어질 수 있는 근무환경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는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동료교사, 원장, 부모 등 인적요인의 영향력을 연구하여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을 향상시키는 변인들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early childhood teachers' autonomy in curriculum management. A survey was conducted with 505 teachers working with children aged 3 to 5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The study used the Curriculum Autonomy Scale, Teaching Creativity Scale, Teacher Cooperation Scale, Director’s Coaching Leadership Scale, and Teacher-Parent Cooperation Scale.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curriculum management autonomy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eaching creativity, peer teacher cooperation, the director’s coaching leadership, and teacher-parent cooperation. All four factors were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curriculum autonom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nhancing teaching creativity and creating a collaborative work environment among teachers are important for improving curriculum management autonom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ighlights the impact of human factors, such as fellow teachers, directors, and parents, on curriculum autonom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 그릿, 사회적 지지, 경력몰입의 구조적 관계분석
- 어머니의 사회적 양육방식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표현어휘력 매개효과
- 아동양육시설을 퇴소한 또는 퇴소를 앞둔 청소년의 자아기능 및 양육기능강화 프로그램의 효과
- 영유아교사 인성에 관한 연구- 근무기관, 교육경력, 자격, 교육활동 만족도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 동료교사협력, 원장의 코칭리더십, 교사부모협력이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 발달장애 아동 부모의 스트레스 완화 및 긴장 이완을 위한 치료 대기 공간 내 음악 감상 효과 - 음악 경험과 성격 유형에 따른 분석-
- 초등학교 고학년의 그릿 향상을 위한 학습코칭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청소년의 사회 및 정서발달(공감, 공동체 의식)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자녀의사소통의 매개효과
- 영재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갈등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