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등교사의 책쓰기 교육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Narrative Inquiry into a Second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with Book-Creating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지현
- 간행물 정보
- 『내러티브와 교육연구』제13권 제2호, 63~8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등교사의 책쓰기 교육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이다. 중등교사가 어떤 과정으로 책쓰기 교육을 실천해 왔으며 이에 대한 교사의 신념과 책쓰기 교육이 지닌 교육적 의미는 무엇인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김 교사의 경험을 시간적 연속성을 중심으로, 사회성과 공간성을 함께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책쓰기 교육은 학생들이 마음을 표현하는 도구에서 새로운 정체성을 수립하는 계기로, 나아가 자발적인 탐구를 통해 지식을 쌓는 활동이자 사회적 실천으로 변화, 확장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책쓰기 교육이 독서교육 안에서 갖는 의미를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narrative inquiry into a second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with book-creating education. It explores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teacher implemented book-creating instruction, the beliefs that underpinned her practices, an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book-creating in her classroom. The study analyzed the teacher Kim's experiences with a focus on temporal continuity, also considering the social and spatial dimensions of her practice. The findings indicate that book-creating served as a means for students to express their inner thoughts, develop new identities, engage in self-directed inquiry, and ultimately participate in social practic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book-creating education within the context of reading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독서교육으로서의 책쓰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초등교육연구 제29집 목차
- 초등학생들의 생활정치 실천 경험 연구 - 학생 다모임과 지역사회 참여 사례를 중심으로
- 시스템사고에 기반한 초등학교 기후변화 수업 방안 - 인과지도 활용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