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유아교사 인성에 관한 연구- 근무기관, 교육경력, 자격, 교육활동 만족도를 중심으로-
이용수 3
- 영문명
-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ity: Institutional Type, Teaching Experience, Certification Type, and Educational Activity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한국부모교육학회
- 저자명
- 강경자 정현숙
- 간행물 정보
- 『부모교육연구』제22권 제2호, 115~147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근무 기관, 교육경력, 자격에 따른 교직인성과 영유아교사 인성의 차이를 분석하고, 교육활동 만족도가 교사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지역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 3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7.0을 활용하여 t-검정, 일원분산분석,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무 기관에 따른 교직인성과 영유아교사 인성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교육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10년 이상 경력 교사의 인성 점수가 가장 높고, 5~10년 미만 집단은 전반적으로 가장 낮았다. 둘째, 교원자격만 보유한 교사는 보육교사 자격만 보유한 교사 및 두 자격을 모두 보유한 교사보다 교직인성과 영유아교사 인성의 하위요인(예: 도덕성, 학생에 대한 열정, 존중, 인간관계, 자기조절 등)에서 유의하게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교육활동 만족도는 교직인성과 영유아교사 인성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그 영향력은 교사의 경력과 자격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교직인성과 영유아교사 인성을 통합적으로 측정하여 교사 인성을 다차원적으로 진단하였으며, 경력 및 자격에 따른 차별화된 인성교육의 필요성을 제시 하였다. 또한, 유보통합 시대 통합교사 양성을 위한 교직과정 및 차별화된 인성교육 방향 수립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differences in teaching character and early childhood teacher personality based on institutional type, teaching experience, and certification, and analyzes the effects of educational activity satisfaction on teacher personality. Data were collected from 308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Using SPSS 27.0, t-tests, one-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y institutional type, but significant differences emerged by teaching experience and certification. Teachers with over 10 years of experience and those holding only a kindergarten teaching certificate showed higher scores in key personality factors such as morality, enthusiasm for children, respec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elf-regulation. Educational activity satisfaction positively influenced both teaching character and teacher personality, with variations depending on experience and certification. Th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multidimensional personality assessment and suggest the need for differentiated personality education and tailored training programs focused on personality development in the context of integra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systems.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 그릿, 사회적 지지, 경력몰입의 구조적 관계분석
- 어머니의 사회적 양육방식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표현어휘력 매개효과
- 아동양육시설을 퇴소한 또는 퇴소를 앞둔 청소년의 자아기능 및 양육기능강화 프로그램의 효과
- 영유아교사 인성에 관한 연구- 근무기관, 교육경력, 자격, 교육활동 만족도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 동료교사협력, 원장의 코칭리더십, 교사부모협력이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 발달장애 아동 부모의 스트레스 완화 및 긴장 이완을 위한 치료 대기 공간 내 음악 감상 효과 - 음악 경험과 성격 유형에 따른 분석-
- 초등학교 고학년의 그릿 향상을 위한 학습코칭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청소년의 사회 및 정서발달(공감, 공동체 의식)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자녀의사소통의 매개효과
- 영재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갈등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