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동양육시설을 퇴소한 또는 퇴소를 앞둔 청소년의 자아기능 및 양육기능강화 프로그램의 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an Ego Function and Parenting Skills Enhancement Program for Adolescents Who Have Left or Preparing to Leave Residential Childcare Facilities
- 발행기관
- 한국부모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민정
- 간행물 정보
- 『부모교육연구』제22권 제2호, 87~11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을 퇴소했거나 퇴소를 앞둔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아기능 및 양육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아동양육시설에 거주하는 18세부터 24세 사이의 청소년 6명이며, 이들은 주 1회, 2시간씩 총 8회기로 구성된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정량적 분석으로 비모수적 통계방법을 사용하였고, 프로그램 참여 과정에서 경험한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질적 분석을 병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결과로는 첫째, 프로그램은 참여자들의 실제 요구를 반영하여 구성되었으며, 그 내용에 대한 수용도가 높았다. 둘째, 본 연구 참여자들의 자아기능 및 양육기능은 프로그램 실시 전에 비해 실시 후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셋째, 참여자들은 프로그램 과정을 통해 자신에 대한 이해를 높였으며, 타인과의 건강한 관계를 위해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필요하다는 점을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좋은 부모의 역할에 대해 구체적으로 이해하게 되었고, 장차 자신도 좋은 부모가 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얻게 되었다.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을 퇴소한 또는 퇴소를 앞둔 청소년들의 자아기능과 양육기능을 통합적으로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다양한 교육이나 상담적 접근을 통해 개인의 성장을 지원하고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program designed to strengthen ego function and parenting skills for six adolescents who have left or are preparing to leave residential childcare facilities. They participated in an eight-session program, conducted once a week for two hours per session.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program's effectiveness, with quantitative data analyzed using non-parametric methods and qualitative analysis conducted in parallel.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was well-aligned with the participants' needs and was received positively. Second, the participants showed positive changes in their ego function and parenting skills after the program when compared to before. Third, the participants demonstrated improvements in ego function and parenting skills, gained deeper self-understanding, and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effective communication for healthy relationships. Fourth, the participants also acquired a clearer understanding of what it means to be a good parent and reported increased confidence in their ability to become good parents in the future. This study confirmed that educational and counseling approaches can support individual growth and lead to positive change.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 그릿, 사회적 지지, 경력몰입의 구조적 관계분석
- 어머니의 사회적 양육방식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표현어휘력 매개효과
- 아동양육시설을 퇴소한 또는 퇴소를 앞둔 청소년의 자아기능 및 양육기능강화 프로그램의 효과
- 영유아교사 인성에 관한 연구- 근무기관, 교육경력, 자격, 교육활동 만족도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교수창의성, 동료교사협력, 원장의 코칭리더십, 교사부모협력이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 발달장애 아동 부모의 스트레스 완화 및 긴장 이완을 위한 치료 대기 공간 내 음악 감상 효과 - 음악 경험과 성격 유형에 따른 분석-
- 초등학교 고학년의 그릿 향상을 위한 학습코칭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청소년의 사회 및 정서발달(공감, 공동체 의식)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자녀의사소통의 매개효과
- 영재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갈등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Integrating the Spirit of the 20th National Congress of the CPC into the Teaching of Ideological and Political Courses in Higher Education: Reflections and Practices
- 플라톤의 「고르기아스」: 수사술과 논박
- ‘자기 형성’에 관한 도덕교육의 철학적 기반 탐색: 「중용」(中庸)의 ‘성’(誠)과 찰스 테일러(Charles Taylor)의 ‘자기 진실성’ 개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