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놀이중심 교육실천을 위한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인식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Explori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Play for Play-Based Educational Practice
- 발행기관
- 한국아동중심실천학회
- 저자명
- 전재선 최종욱
- 간행물 정보
- 『아동중심실천연구』제20권 제1호, 125~14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가 학교현장실습 중 유아의 놀이를 어떻게 인식하고 해석하는지를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학교현장실습을 수행하는 43명의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실습기간 중 유아들의 놀이를 관찰하고 작성한 총 168편의 저널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들의 놀이에 대해 ‘즐거운 것’, ‘가르침과 배움의 주고받기’,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 넘기’, ‘성장의 시간’이라는 네 가지 주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예비유아교사가 유아의 놀이를 정서적, 인지적, 사회적, 창의적 발달을 통합한 총체적 경험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가 놀이의 의미를 스스로 인식하는 경험은 놀이를 통해 유아들의 배움을 이해하고 놀이 중심 교육과정을 실천할 수 있는 전문성을 높이는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유아교사양성과정에서 놀이 관찰 경험의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how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 young children’s play during their field practicum. A qualitative research design was employed, and a total of 168 reflective journals written by 43 pre-service teach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ductively. The findings revealed four key categories of play perception: “play as enjoyment,” “an exchange of teaching and learning,” “crossing the boundaries between reality and imagination,” and “a time for growth.” These categories illustrate that pre-service teachers interpreted play as a holistic experience that integrates emotional, cognitive, social, and creative development. Furthermore, the participants recognized that play fosters children’s autonomy, imagination, and relational skills, and acknowledged play-based curricula as an essential pedagogical foundation applicable into real educational contex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the need for experience-based training, strategic guidance for play support, and observation-centered practicum programs within teacher education to enhance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pla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