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보육교사의 긍정심리 자본이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 역량에 미치는 영향 : 자기성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6
- 영문명
-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childcare teachers on Play-oriented curriculum implementation competenc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flection
- 발행기관
- 한국아동중심실천학회
- 저자명
- 이경미 서혜전
- 간행물 정보
- 『아동중심실천연구』제20권 제1호, 65~8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놀이중심교육실천역량과의 관계에서 자기성찰의 매개효과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 대상은 대구경북 지역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296명이었으며, 설문지의 적절성을 평가하기 위해 본 조사에 앞서 관련된 전문가 3인의 검토, 보육교사 16명을 대상으로 문장의 적절성 및 이해도에 대한 사전 조사를 거쳐 최종적으로 완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및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 자기성찰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PROCESS macro 모델 4를 활용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 자기성찰, 놀이 중심 교육 실천 역량 간의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보육교사의 긍정 심리자본과 놀이중심교육실천역량과의 관계에서 자기성찰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심리 자본과 자기성찰,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 역량 간의 관계를 탐색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보육 현장에서의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특히 보육교사의 놀이중심 교육실천 역량 강화를 위해 교사 개인 변인인 긍정심리자본과 자기성찰 증진을 위한 구체적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이 기관 차원 뿐 아니라 보수교육 등의 과정에 포함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이는 결과적으로 보육 서비스의 질적 향상으로 이어지며, 궁극적으로 영유아의 놀이 경험을 더욱 풍부하게 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fle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ir competency in implementing play-oriented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0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in Gyeongsan-si, and the final questionnaire was completed refined through expert review by two professionals and preliminary survey involving 15 childcare teachers to assess sentence clarity and appropriateness for 15 childcare teachers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questionnaire prior to this survey.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25.0),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performed using AMOS 21.0. In addition,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PROCESS Macro Model 4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fl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elf-reflection, and play-oriented education practice competencies of childcare teachers. Second, it was found that self-reflection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childcare teachers and their competency in play-oriented education practi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various educational support systems, including programs to promote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childcare teachers, need to be prepared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self-development. This is becaus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can enhance play-oriented education practice competency through the mediating role of self-reflection. In this wa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mpirically verified the mediating role of an individual variable—self-reflection—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heir competency in play-oriented educational practic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