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보육교사의 심리적 행복감과 사회 심리 건강이 직무역량 자기 평가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6

영문명
The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o-Psychological Health on Self-Evaluation of Job Competence
발행기관
한국아동중심실천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아동중심실천연구』제20권 제1호, 5~19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보육교사의 심리적 행복감과 사회 심리 건강이 직무역량 자기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직무역량 강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경상남도 C 특례시 어린이집 보육교사 대상으로 설문조사 후 286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검사의 도구는 심리적 행복감, 사회 심리 건강, 직무역량 자기 평가 설문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ver.25)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Scheffe 검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보육교사의 심리적 행복감, 사회 심리 건강, 직무역량 자기 평가 수준은 대체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행복감, 사회 심리 건강, 직무역량 자기 평가 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보육교사의 심리적 행복감과 사회 심리 건강이 직무역량 자기 평가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이에 이 연구가 기존의 보육교사 역량 관련 연구에서 다소 간과되었던 정서적·심리적 요인의 중요성을 부각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정기적인 정서 관리 프로그램, 상담 시스템, 휴식 보장 등 정서적 지원체계 구축 마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o-psychological health of childcare teachers on self-evaluation of job competency and to suggest ways to enhance the job competency of childcare teacher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childcare teachers at daycare centers in C City, Gyeongsangnam-do. After conducting a survey, a total of 286 responses were analyzed.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averag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care teachers was high. Second,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social psychological health, and self-evaluation of job competency.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psychological health of childcare teach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elf-evaluation of job competency.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emotional and psychological factors that were somewhat overlooked in previous studies on childcare teacher competency, and suggests the need to establish an emotional support system such as regular stress management programs, counseling services, and guaranteed rest period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5).보육교사의 심리적 행복감과 사회 심리 건강이 직무역량 자기 평가에 미치는 영향. 아동중심실천연구, 20 (1), 5-19

MLA

. "보육교사의 심리적 행복감과 사회 심리 건강이 직무역량 자기 평가에 미치는 영향." 아동중심실천연구, 20.1(2025): 5-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