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 내 소규모 어린이집 협력을 위한 원장 공동체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이용수 0
- 영문명
- A Community Program for Directors: Fostering Collaboration Among Local Small-Scale Childcare Centers
- 발행기관
- 한국아동중심실천학회
- 저자명
- 김보림 이성미
- 간행물 정보
- 『아동중심실천연구』제20권 제1호, 87~10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급변하는 보육환경 속에서 소규모 어린이집 간의 협력과 자원 공유를 기반으로 한 공동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에 참여한 원장들의 경험을 질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상생적 보육문화 조성을 위한 실천적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강원도 C시에 소재한 소규모 어린이집 원장 10명을 대상으로 2022년 12월 1일부터 2023년 11월 20일까지 진행되었으며, 공동체 프로그램은 총 8회기로 구성되어 실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면담, 활동일지, 회의록, 참여관찰 기록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주제분석법에 따라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참여 원장들은 프로그램을 통해 고립된 운영에서 벗어나 상호 지지적 관계를 형성하고, 실질적인 자원 공유를 통해 운영의 효율성을 높였으며, 리더십과 전문성을 강화하고,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통해 보육의 확장 가능성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소규모 어린이집 간 협력 공동체 프로그램이 보육기관의 지속 가능성과 보육 서비스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실천적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ongoing decline in birth rates and the resulting reduction in the number of childcare centers have exacerbated operational challenges for small-scale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raising concerns about the accessibility and quality of childcare services. In response to this structural shift, the present study aimed to develop a collaborative community program for directors of small childcare centers and to qualitatively examine their experiences after its implementation. Conducted in City C, Gangwon Province, the study involved ten directors and was carried out over five phases from December 2022 to July 2023. The eight-session program emphasized inter-institutional cooperation and resource sharing.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ctivity journals, meeting records, and participant observations, and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gram enabled participants to move beyond isolated operational models, fostering mutual support, increase efficiency through practical resource sharing, strengthen leadership and professional identity, and broaden partnerships with local communiti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llaborative models can serve as viable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sustainability and quality of small-scale childcare services. This study provides a foundational basis for cultivating a cooperative, community-based childcare culture and calls for further research that includes encompassing more diverse participants and setting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