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 대학에서 한국문학 교육의 현황과 방향 -교양 과정을 중심으로-
이용수 29
- 영문명
- A Study on the Status and Prospects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n Japanese Universities -With a Focus on Liberal Arts Curricula-
- 발행기관
- 우리말학회
- 저자명
- 위햇님 오지혜
- 간행물 정보
- 『우리말연구』제81집, 161~196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본의 한국문학 교육의 현황을 고찰하고 대학 교양 과정에서 한국문학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일본 내 고등학교 외국어 교육과정의 문학 텍스트 활용 지침과 4년제 대학 교육과정의 문학 개설 교과목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교양 과정의 한국문학 교육은 전공 과정에 비해 폭넓은 문화적 이해를 목표로 사회·문화적 맥락과 연계하여 다루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양 과정 학부생을 대상으로 한국문학 수업에 대해 설문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문학 교육의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교육 목표 측면에서 언어 학습과 연계한 문화 교육을 강화한다. 둘째, 교육 내용 측면에서 학습자의 요구와 흥미를 반영한다. 셋째, 교육 방식 측면에서 학습자 주도적·참여형 학습 방식을 도입한다. 최근 한류로 인해 급증하는 학습자의 수요, 학습 동기 등을 고려할 때 대학 교양 교육과정과 교과목 개발에서 케이 컬쳐(K-culture)로서 문학을 수용하고 다양한 교육 방법론을 모색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n Japan and to seek directions for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n university liberal arts courses. We first reviewed the guidelines for the use of literary texts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courses in high schools in Japan as well as the literature courses offered in major, intensive, and liberal arts courses at four-year universities.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curriculum and subjects of Korean studie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was confirmed that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n liberal arts courses is treated in connection with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with the goal of broader cultural understanding compared to major courses. As a result of a survey on Korean literature classes for liberal arts undergraduates, This study proposed that educational goals should focus on strengthening cultural education linked to language learning, and the educational content should be selected to reflect the learners' needs and interests. Also learner-driven and participatory teaching methods must be introduced.
목차
1. 들어가며
2. 일본 대학에서 한국문학 교육의 현황
3. 한국문학 수업에 대한 한국어 학습자 인식 조사
4. 일본 대학 교양 과정에서 한국문학 교육의 방향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산 지역어 의문문 형성 방식의 개별적 특성 -대조언어학의 관점에 기초하여-
- 삶과 죽음에 대한 두 가지 인지적 접근 이 논문은 2025년도 부산외국어대학교 학술연구조성비에 의해 연구되었음. - 개념적 은유 이론과 범주적 은유 이론 -
- 한국어학에서 ‘과학적 연구’ 개념의 기원과 전개
- 기사문 쓰기에 대한 독자의 인식
- 예비 한국어 교사의 교육실습 경험에 대한 연구
- 일본 대학에서 한국문학 교육의 현황과 방향 -교양 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의 언어 기술 영역으로서 보기(viewing)에 대한 일고찰
- Q 방법론을 활용한 한국어 쓰기 수업의 교사 유형 연구 -10년 이상의 경력 교사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