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 한국어 교사의 교육실습 경험에 대한 연구
이용수 11
- 영문명
- A Study on the Teaching Practicum Experiences of Prospec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 발행기관
- 우리말학회
- 저자명
- 김상수
- 간행물 정보
- 『우리말연구』제81집, 139~15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 한국어 교사들의 교육실습 경험을 실습 전, 실습 중, 실습 후의 단계로 나누어 분석하고, 그 의미를 탐색하였다. A대학교에서 한국어교육실습 과목을 이수한 예비 교사 102명을 대상으로 서면 인터뷰를 실시하고, 질적 코딩 분석을 통해 주요 주제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실습 전에는 기대와 불안, 책임감 등이 복합적으로 나타났으며, 실습 중에는 수업지도안 작성과 모의수업 과정에서의 실제적 도전과 성장을 경험하였다. 실습 후에는 교사로서의 정체성에 대한 성찰과 반복, 실습의 필요성, 교육실습의 개선 방향에 대한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예비 교사 교육에서 실습의 정서적·교육적 함의를 반영한 설계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teaching practicum experiences of prospec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by analyzing their reflections across three stages: before, during, and after practicum. Based on written interviews with 102 participants who completed a teaching practicum course at a university, this qualitative case study employed thematic coding to identify key experiential elements. The findings reveal that pre-practicum experiences were characterized by a mixture of anticipation, anxiety, and a sense of responsibility. During the practicum, participants encountered challenges in lesson planning and mock teaching, while also reporting meaningful growth. Post-practicum reflections emphasized professional identity formation, the need for more iterative practice, and suggestions for practicum improvement.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designing teacher education programs that address both the emotional and instructional dimensions of practicum experiences.
목차
1. 서론
2. 한국어교육실습
3. 연구 절차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산 지역어 의문문 형성 방식의 개별적 특성 -대조언어학의 관점에 기초하여-
- 삶과 죽음에 대한 두 가지 인지적 접근 이 논문은 2025년도 부산외국어대학교 학술연구조성비에 의해 연구되었음. - 개념적 은유 이론과 범주적 은유 이론 -
- 한국어학에서 ‘과학적 연구’ 개념의 기원과 전개
- 기사문 쓰기에 대한 독자의 인식
- 예비 한국어 교사의 교육실습 경험에 대한 연구
- 일본 대학에서 한국문학 교육의 현황과 방향 -교양 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의 언어 기술 영역으로서 보기(viewing)에 대한 일고찰
- Q 방법론을 활용한 한국어 쓰기 수업의 교사 유형 연구 -10년 이상의 경력 교사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