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Q 방법론을 활용한 한국어 쓰기 수업의 교사 유형 연구 -10년 이상의 경력 교사를 중심으로-
이용수 16
- 영문명
- Q Methodology-Based Study on Teacher Types in Korean Writing Classes : Focusing on Teachers with Over 10 Years of Experience
- 발행기관
- 우리말학회
- 저자명
- 윤효승 차윤정
- 간행물 정보
- 『우리말연구』제81집, 107~137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0년 이상의 경력을 지닌 한국어 교사들의 쓰기 수업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Q 방법론을 통해 유형화하였다. 그 결과, 고경력 교사는 ‘구조·세심형’, ‘맥락·신뢰형’, ‘전략·열정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각 유형은 쓰기 수업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요소에 차이를 보였으나 학습자 수준의 고려, 장르 기반 지도, 의미 중심 피드백의 중요성에서는 공통된 인식을 나타냈다. 이번 연구는 교사 관점에서 쓰기 교육의 다양성과 지향점을 조망함으로써 상호 이해의 기반을 마련하고, Q 방법론을 통해 도출된 인식 유형이 한국어교육 현장에서의 교육적 사고 및 실천의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로 기능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향후 연구에서는 수업 관찰과 심층 면담을 병행하여 교사의 인식과 실제 수업 실행 간 격차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ategorized the subjective perception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with over ten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regarding writing instruction, using Q methodology. The analysis identified three distinct teacher types among experienced instructors: the “Structure & Detail-Oriented Type,” the “Context & Trust-Oriented Type,” and the “Strategy & Passion-Oriented Type.” While each type placed varying degrees of importance on different elements in writing classes, they shared common views on the need to consider learner proficiency, the value of genre-based instruction, and the importance of meaning-focused feedback. By examining the diversity and directionality of writing education from the teachers’ perspectives, this study establishes a foundation for mutual understanding among educators. Furthermore, the teacher typologies derived from Q methodology provide valuable baseline data for advancing educational thinking and practice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uture research should incorporate classroom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to analyze the gap between teachers’ perceptions and their actual instructional practices.
목차
1. 서론
2. 연구 배경과 선행 연구
3. 연구 방법 및 절차
4. 유형화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산 지역어 의문문 형성 방식의 개별적 특성 -대조언어학의 관점에 기초하여-
- 삶과 죽음에 대한 두 가지 인지적 접근 이 논문은 2025년도 부산외국어대학교 학술연구조성비에 의해 연구되었음. - 개념적 은유 이론과 범주적 은유 이론 -
- 한국어학에서 ‘과학적 연구’ 개념의 기원과 전개
- 기사문 쓰기에 대한 독자의 인식
- 예비 한국어 교사의 교육실습 경험에 대한 연구
- 일본 대학에서 한국문학 교육의 현황과 방향 -교양 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의 언어 기술 영역으로서 보기(viewing)에 대한 일고찰
- Q 방법론을 활용한 한국어 쓰기 수업의 교사 유형 연구 -10년 이상의 경력 교사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