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마케팅 · 영업 직무 근로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요인 분석 : 성별 및 직무 유형에 따른 다집단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s among Marketing and Sales Professionals : A Multi-group SEM Analysis by Gender and Job Type
- 발행기관
- 한국기업교육학회
- 저자명
- 장하연 이주원
- 간행물 정보
- 『기업교육과 인재연구』기업교육과 인재연구 제27권 제2호, 1~38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마케팅 · 영업 직무 근로자를 대상으로,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이직의도에 이르는 구조적 경로에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그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수집된 직무경력 5년 이상의 근로자 251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Amos 28.0을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프로티언 경력태도는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직무만족은 조직몰입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두 변인은각각 이직의도에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티언 경력태도는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경유하는 경로를 통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연속적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성별 및 직무 유형에 따른 다집단 분석 결과, 여성 근로자와 마케팅 직무 근로자 집단에서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마케팅 · 영업 직무군의 특성을 반영하여경력태도와 조직행동 변수 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protean career orientati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marketing and sales professional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251 employees with over five years of work experience and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via AMOS 28.0. The findings reveal that protean career orientation positively influences job satisfaction, which in turn positively affects organizational commitment; both variables negatively impact turnover intention. Notably, protean career orientation does not directly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exerts an in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rough a sequential mediation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Multi-group analyses indicate that the positive effect of protean career orientation on job satisfaction is more pronounced among female employees and those in marketing roles. This research provid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empirically validat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areer attitudes and organizational behavior variables, consider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marketing and sales positio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