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서비스 경험 디자인을 활용한 디지털 심리 상담 시스템 연구

이용수  151

영문명
A Study on Digital Psychological Counseling System Utilizing Service Experience Design
발행기관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저자명
정혜경 고장혁
간행물 정보
『신학과 학문(구 신학리뷰)』제27권 제1호, 279~314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심리 상담 서비스의 형태와 운영 방식을 변화시키며, 내담자와 상담사의 상호작용 방식에도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는 서비스 경험 디자인(Service Experience Design, SED)을 적용하여 디지털 환경에서 보다 효과적인 심리 상담 서비스를 설계하고자 하였다. 특히, 기독교 공동체 내에서의 심리 상담 필요성을 반영하여, 교회와 선교 현장에서 디지털 심리 상담 시스템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더블 다이아몬드(Double Diamond) 모델을 활용하여 상담 서비스 이용자의 요구를 분석하고, 이를 반영한 최적의 상담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심층 인터뷰 및 경쟁 서비스 분석을 수행하여 디지털 심리 상담의 접근성 향상, 상담 지속성 강화, 상담사 지원 기능 최적화 등의 핵심 기능을 도출하였다. 제안된 디지털 심리 상담 시스템은 AI 기반 상담(텍스트 및 음성 지원), 메타버스 그룹 상담, 맞춤형 힐링 콘텐츠 제공, 상담 기록 및 프로필 관리, AI 감정 분석을 통한 상담 방향 설정, 헬스케어 데이터 연동, 상담 지속성을 위한 보상 시스템 등의 기능을 포함한다. 특히, 교회 및 기독교 기관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온라인 교회, 목회 상담, 선교 활동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고려하여 설계되었다.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에 교회 공동체와 상담 전문가가 심리 상담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하며, 향후 연구에서는 실제 사용자 테스트 및 사용성 평가를 통해 시스템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다양한 환경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는 과정이 추가적으로 필요함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e advance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transformed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psychological counseling services, introducing a new paradigm for interactions between clients and counselors. This study applies Service Experience Design (SED) to develop an effective digital psychological counseling system, particularly exploring its potential application within Christian communities, church ministries, and mission fields. Using the Double Diamond model, this study analyzes user needs in counseling services and develops an optimized digital system.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competitive service analysis, the study identifies key features to enhance accessibility, counseling continuity, and counselor support. The proposed system includes AI-driven counseling services (text and voice-based), metaverse-based group counseling, personalized healing content, session records and profile management, AI emotion analysis for counseling direction, integration with healthcare data, and a reward system for sustained engagement. Specifically, the system is designed for practical use in online churches, pastoral counseling, and missionary activities. This study provides practical insights into how digital counseling services can be effectively utilized by Christian communities and counseling professionals.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user testing and usability evaluation to validate the system's effectiveness and analyze its adaptability across different environment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 기술 조사
Ⅲ. 발견 (Discover: 문제 식별)
Ⅳ. 정의 (Define: 문제 구체화)
Ⅴ. 개발 (Develop: 솔루션 개발)
Ⅵ. 연구 결과
Ⅶ.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혜경,고장혁. (2025).서비스 경험 디자인을 활용한 디지털 심리 상담 시스템 연구. 신학과 학문(구 신학리뷰), 27 (1), 279-314

MLA

정혜경,고장혁. "서비스 경험 디자인을 활용한 디지털 심리 상담 시스템 연구." 신학과 학문(구 신학리뷰), 27.1(2025): 279-31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