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종말론적 시각에서 본 ‘널(null)’의 의미 - 김보영, 황모과, 김건영, 조시현의 작품을 중심으로 -
이용수 24
- 영문명
- The Meaning of ‘Null’ from an Apocalyptic Perspective - Focusing on the Works of Kim Bo-young, Hwang Mo-gwa, Kim Geon-young, and Jo Si-hyeon -
- 발행기관
-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 저자명
- 김재민
- 간행물 정보
- 『신학과 학문(구 신학리뷰)』제27권 제1호, 43~83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7,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프로그래밍의 ‘널’ 개념을 종말론적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이를 통해 김보영, 황모과, 김건영, 조시현의 작품이 제기하는 현대적 문제들을 분석하고자 했다. ‘널’은 단순히 값이 없거나 공백 상태를 나타내는 기호에 머무르지 않는다. 그것은 명확히 할당된 어떤 값의 부재를 명시적으로 드러내며, 향후에 특정한 의미나 값이 새롭게 들어올 수 있는 공간으로 남아 있다. 김보영의 「종의 기원담」 에서 ‘널’은 단지 소멸과 붕괴의 공간이 아니라 새로운 공존의 출발점이자 관계를 재구성하는 가능성의 영역으로 기능하고 있다. 황모과의 「시대 지체자와 시대 공백」은 역사적 망각과 공백의 문제를 ‘널’의 개념으로 재조명한다. 김건영의 시 「Null」은 기존의 관습적 언어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상태에서 새로운 언어와 가치를 찾아내려고 시도한다. 이는 언어의 종말 이후 새롭게 등장할 미지의 세계를 향한 탐구와 같다. 조시현의 시 「#NULL!」은 현대 사회가 직면한 위기와 공허함을 상징하는 ‘널’ 개념을 효과적으로 확장한다. 문학적 맥락으로 확장할 때 ‘널’은 단순한 결핍이나 부정을 넘어 기존의 질서와 가치 체계가 해체된 이후 발생하는 공백 상태를 지칭하며, 이 상태는 새로운 의미 체계와 질서가 탄생할 수 있는 출발점으로서 기능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reinterprets the concept of ‘Null’ in programming from an apocalyptic perspective and analyzes the contemporary issues raised by the works of im Bo-young, Hwang Mo-gwa, Kim Geon-young, and Jo Si-hyeon. ‘Null’ is not just a symbol that represents a value-free or blank state. It explicitly reveals the absence of any clearly assigned value and remains a space for new meanings or values to enter in the future. We are analyzing how ‘null’ appears in the works of the four aforementioned artists. In doing so, it is possible to reveal the use and meaning of ‘null’ as an object that is currently beginning to appear in Korean literature.
목차
Ⅰ. 서론
Ⅱ. 종말론적 맥락 안에서의 ‘널’의 의미
Ⅲ.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권두언> 상상력의 종말, 혹은 종말 이후의 상상
- (포스트) 팬데믹과 (포스트) 아포칼립스 - 잭 런던의 『주홍색 전염병』과 마가렛 애트우드의 『매드 아담 삼부작』에 나타나는 팬데믹과 생태적 종말, 그리고 공생의 희망 -
- 종말론적 시각에서 본 ‘널(null)’의 의미 - 김보영, 황모과, 김건영, 조시현의 작품을 중심으로 -
- 인류세 시대, 포스트휴먼 서사의 가능성 - 마가렛 애트우드의 『매드아담』(MaddAddam)을 중심으로 -
- 여성 청년들의 시에 나타난 세계의 폭력성 인식과 ‘오지 않을 미래’에 대한 기다림 - 정다연, 주민현, 박규현을 중심으로 -
- 서비스 경험 디자인을 활용한 디지털 심리 상담 시스템 연구
- 송민원.『 히브리어의 시간』. 서울: 복있는사람. 2024.
- 사도 바울의 진성리더십에 관한 연구 - 사도행전과 바울 서신을 중심으로 -
- 이스라엘의 7대 절기에 대한 표상학적 해석의 근거와 그 종말론적 의미
- 종교 권력화에 따른 19세기 미국 복음주의 개신교 예배 공간 변화에 관한 연구
- 재림교회적 마을목회 적용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양교육과 종교교육: 학교 종교교육 ‘삶과 종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새『교리교육지침』에 따른 한국 천주교회 유아 신앙교육에 대한 대안적 접근: 『샬롬, 가톨릭 유아 교리 교안집』의 한계와 착한목자 교리교육(CGS)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 현황과 과제: 불교종립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