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등학교 교양교육과 종교교육: 학교 종교교육 ‘삶과 종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Liberal Education and Religious Education in High School: Focusing on the ‘Religion in Life’ Textbook in School Religious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종교교육학회
- 저자명
- 김경이
- 간행물 정보
- 『종교교육학연구』제81권, 17~4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고등학교 교양교육 안에서 종교교육의 위치와 종교교육 활성화를 위한 방안에 대해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 첫째, 고등학교 교양교육으로서 종교교육에 관해 고찰하기 위해 교양교육이란 무엇인가?, 고등학교 교양교육 변화과정, 고등학교 교양교육에 대한 기대, 교양 교과에 제기되어 온 문제들을 살펴본다. 둘째, 교양교육으로서 삶과 종교에 관해 고찰하기 위해 삶과 종교 교육과정 개발 과정, 교과 성격과 목표, 주요 내용과 교수 학습에서 강조점, 교과서 내용 선정과 구성, 교육과정 실행에서 교사와 학생의 역할에 대해 다룬다.
[결론] 학교 교육과정에서 교양교육과 종교교육은 주변부에 머무르고 있다.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3종의 교과서는 ‘삶과 종교’ 교육과정의 성격을 반영하고 있으며 종교 문해력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향후 종립학교 뿐 아니라 공립학교에서의 종교 교과 개설을 위해 필요한 방안에 대한 지속적 탐구가 필요하다는 제안을 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lace of religious education within liberal arts education in high schools and to identify strategies for its revitalization.
[Contents] First, in order to examine religious education as a component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high schools, this study first explores the concept of liberal arts educati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liberal education in high schools, the expectations placed upon it, and the various issues that have been raised concerning liberal arts subjects.
Second, to examine on ‘Religion in Life’ as a form of liberal education, the study addresses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Life and Religion curriculum, the subject’s nature and goals, key content areas and instructional emphases,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textbook content, and the roles of teachers and students in curriculum implementation.
[Conclusions] In the school curriculum, both liberal arts education and religious education remain at the margins. The three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revised curriculum reflect the nature of the ‘Religion in Life’ course and are structured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religious literacy. This study proposes the need for continued exploration of strategies for introducing religious education not only in private religious schools but also in public schools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고등학교 교양교육으로서 종교교육
Ⅲ. 교양교육으로서 삶과 종교
Ⅳ.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등학교 교양교육과 종교교육: 학교 종교교육 ‘삶과 종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새『교리교육지침』에 따른 한국 천주교회 유아 신앙교육에 대한 대안적 접근: 『샬롬, 가톨릭 유아 교리 교안집』의 한계와 착한목자 교리교육(CGS)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 현황과 과제: 불교종립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의 재개념화 고찰: 가톨릭학교 종교교육의 맥락에서
- 고교학점제 시행에 따른 고등학교 종교교육의 현황과 과제: 기독교학교(개신교)를 중심으로
- 장자 본성론의 인성교육적 함의: 2015 인성교육진흥법의 분석적 검토를 중심으로
- 언어와 영성 발달: 하나님 포괄적 언어에 대한 신학적․교육학적 성찰
- 지역대학 재학생의 교육 경험이 지역 내 정주의사에 미치는 영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양교육과 종교교육: 학교 종교교육 ‘삶과 종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새『교리교육지침』에 따른 한국 천주교회 유아 신앙교육에 대한 대안적 접근: 『샬롬, 가톨릭 유아 교리 교안집』의 한계와 착한목자 교리교육(CGS)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 현황과 과제: 불교종립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