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림교회적 마을목회 적용에 관한 연구
이용수 27
- 영문명
- A Study on the Practice of Village Ministry in the Adventist Church
- 발행기관
-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 저자명
- 전주명 최경천
- 간행물 정보
- 『신학과 학문(구 신학리뷰)』제27권 제1호, 253~27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마을목회는 서구권에서 발전된 선교적 교회론을 한국적으로 적용한 새로운 목회 패러다임이다. 오늘날 개신교계에서 마을목회는 교파를 뛰어넘는 시대적 목회 패러다임으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마을목회를 연구하고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기관들이 설립되고 있으며 관련 연구들과 실천사례들이 끊임없이 생산되고 있다. 재림교회 역시 오늘날 직면한 실존적 위기를 돌파하기 위한 해답을 선교적 교회론에서 찾고 “이것을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라는 과제를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선교적 교회론을 한국교회의 토양에 맞추어 발전시킨 마을목회는 재림교회에 좋은 모델이 된다. 그러나 일반 개신교계의 신학적 토대에서 발전된 마을목회를 그들과 차별된 기별, 문화, 행정조직을 가진 재림교회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마을목회의 재림교회적 적용 방안이 검토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마을목회의 역사적 배경, 마을목회의 문자적 개념, 마을목회의 실천 과제들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재림교회적 마을목회의 실천방안을 모색하는 연구이다. 본 논문은 마을목회의 역사적 배경 분석을 통해 재림교회가 마을목회를 해야 하는 이유와 마을목회의 문자적 개념 분석을 통해 재림교회적 마을목회 재 정의를 위한 제언, 그리고 마을목회의 실천과제 분석을 통해 재림교회적 마을목회 실천을 위한 과제들을 제안하고 있다.
영문 초록
Village ministry is a new pastoral paradigm that applies the missionary ecclesiology developed in the Western world in a Korean way. In the Protestant world today, village pastoralism is attracting great attention as a pastoral paradigm of the times that transcends denominations. Various institutions are being established to research and support village ministry, and related studies and practice cases are constantly being produced.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is also seeking ways to overcome the existential crisis we are facing today through missionary ecclesiology. In this situation, the village ministry, which developed missional ecclesiology according to the soil of the Korean church, is a good model for the Adventist Church. However, in order to apply the village ministry developed on the theological basis of the general Protestant world to the Adventist Church, which has a message, culture, and administrative organization differentiated from them,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Adventist application plan of the village ministry. This article is a study to find a way to practice Adventist village ministr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village ministry, the literal concept of village ministry, and the practical tasks of village ministry. This paper analyz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village ministry to explain why the Adventist Church should do village ministry, analyzes the literal concept of village ministry, proposes to redefine the Adventist village ministry, and analyzes the practical tasks of village ministry. Through this, we are suggesting solutions for the practice of Adventist village ministry.
목차
Ⅰ. 들어가는 글
Ⅱ. 마을목회의 역사적 배경
Ⅲ. 마을목회의 개념적 실천방안
Ⅳ. 마을목회의 재림교회 적용
Ⅴ. 나가는 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권두언> 상상력의 종말, 혹은 종말 이후의 상상
- (포스트) 팬데믹과 (포스트) 아포칼립스 - 잭 런던의 『주홍색 전염병』과 마가렛 애트우드의 『매드 아담 삼부작』에 나타나는 팬데믹과 생태적 종말, 그리고 공생의 희망 -
- 종말론적 시각에서 본 ‘널(null)’의 의미 - 김보영, 황모과, 김건영, 조시현의 작품을 중심으로 -
- 인류세 시대, 포스트휴먼 서사의 가능성 - 마가렛 애트우드의 『매드아담』(MaddAddam)을 중심으로 -
- 여성 청년들의 시에 나타난 세계의 폭력성 인식과 ‘오지 않을 미래’에 대한 기다림 - 정다연, 주민현, 박규현을 중심으로 -
- 서비스 경험 디자인을 활용한 디지털 심리 상담 시스템 연구
- 송민원.『 히브리어의 시간』. 서울: 복있는사람. 2024.
- 사도 바울의 진성리더십에 관한 연구 - 사도행전과 바울 서신을 중심으로 -
- 이스라엘의 7대 절기에 대한 표상학적 해석의 근거와 그 종말론적 의미
- 종교 권력화에 따른 19세기 미국 복음주의 개신교 예배 공간 변화에 관한 연구
- 재림교회적 마을목회 적용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양교육과 종교교육: 학교 종교교육 ‘삶과 종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새『교리교육지침』에 따른 한국 천주교회 유아 신앙교육에 대한 대안적 접근: 『샬롬, 가톨릭 유아 교리 교안집』의 한계와 착한목자 교리교육(CGS)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 현황과 과제: 불교종립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