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 현황과 과제: 불교종립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The Current Status and Challenges of Religious Education under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cusing on a Buddhist-Affiliated High School
- 발행기관
- 한국종교교육학회
- 저자명
- 이학주 김은영
- 간행물 정보
- 『종교교육학연구』제81권, 1~1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교육과정이 2025학년도부터 본격 시행됨에 따라 불교종립 고등학교에서 종교 교과인「삶과 종교」를 편성․운영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육 현장의 실제적 쟁점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종교교육의 지속가능성과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연구 내용]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교육청의 교육과정 운영 지침과 G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삶과 종교」 교과의 편성 시기, 학점 배당, 복수 편성의 조건, 교사 수급과 과목 상치 문제, 교과서 확보 상황 등 세부적인 운영 실태를 분석하였다. 특히 고교학점제 도입과 학기 단위 운영이 가져온 제도적 변화가 종교 교과 운영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복수 편성 지침과 학기제 운영 원칙 사이의 구조적 충돌은 종교 교과의 안정적 운영에 장애가 된다. 둘째, 종교 과목의 상대적 저평가와 수업 시수 불균형은 학생의 학습권과 교사의 정서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셋째, 종교 교육과정의 다양화 및 인정도서 확보는 종교교육의 지속성을 위한 핵심 과제로 제시된다. 더불어 관련 제도의 지속적인 변화가 예상되지만, 학교에서의 종교교육이 우리 사회에 기여할 수 있도록 종교교육계가 다방면의 소통과 제도개선 참여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actical challenges faced in organizing and implementing the religious subject “Life and Religions” at a Buddhist-affiliated high school under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hich will be fully applied starting in the 2025 academic year.
[Contents] Focusing on the curriculum guidelines from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the case of G High School, this study analyzes the course schedule, credit allocation, teacher assignment, and textbook issues. It also reviews how the semester-based system and high school credit program impact the delivery of religious education.
[Conclusions] The study finds that conflicts between multiple course offering rules and the semester system hinder the stable operation of religious subjects. The undervaluation of religious education may also affect student engagement and teacher morale. It concludes that expanding curriculum options and securing approved textbooks are essential, and highlights the need for ongoing dialogue and policy engagement to ensure the continued contribution of religious education to society.
목차
Ⅰ. 서론
Ⅱ. 2022 개정 교육과정과「삶과 종교」편성 운영 현황
Ⅲ.「삶과 종교」편성 운영의 고충과 과제
Ⅳ. 결론: 변화하는 교육제도와 종교교육의 대응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등학교 교양교육과 종교교육: 학교 종교교육 ‘삶과 종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새『교리교육지침』에 따른 한국 천주교회 유아 신앙교육에 대한 대안적 접근: 『샬롬, 가톨릭 유아 교리 교안집』의 한계와 착한목자 교리교육(CGS)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 현황과 과제: 불교종립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의 재개념화 고찰: 가톨릭학교 종교교육의 맥락에서
- 고교학점제 시행에 따른 고등학교 종교교육의 현황과 과제: 기독교학교(개신교)를 중심으로
- 장자 본성론의 인성교육적 함의: 2015 인성교육진흥법의 분석적 검토를 중심으로
- 언어와 영성 발달: 하나님 포괄적 언어에 대한 신학적․교육학적 성찰
- 지역대학 재학생의 교육 경험이 지역 내 정주의사에 미치는 영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양교육과 종교교육: 학교 종교교육 ‘삶과 종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새『교리교육지침』에 따른 한국 천주교회 유아 신앙교육에 대한 대안적 접근: 『샬롬, 가톨릭 유아 교리 교안집』의 한계와 착한목자 교리교육(CGS)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 현황과 과제: 불교종립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