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거이론을 활용한 특수교사의 발달장애 학생 문제행동 중재 경험 이해

이용수  15

영문명
Understanding of Special Teachers’ Problem Behavior Intervention Experience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Using Grounded Theory
발행기관
한국행동분석학회
저자명
김재우 백종남
간행물 정보
『행동분석·지원연구』제12권 제1호, 209~23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발달장애 학생의 문제행동 중재를 수행하는 특수교사의 실행 경험을 근거이론에 기반하여 심층적으로 이해하여 중재 실행의 조건, 전략, 어려움 및 요구 간 구조적 관계를 설정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인천 지역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5년 이상 10년 미만 경력의 특수교사 6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담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개방코딩, 축 코딩, 선택 코딩을 통해 총 373개의 개념, 15개의 소범주, 7개의 대범주를 도출하였다. 핵심 범주는 ‘학생과 교사를 위한 전문적인 지원체계 구축’으로 나타났으며, 참여 교사의 경험은 ‘가정 연계 능동형’과 ‘가정 연계 수동형’으로 유형화되었다. ‘교사의 내적 고충’은 ‘현장의 고충’과 ‘전문 인력 및 협력 부족’에 의해 심화되며, 이를 완화하고 중재 실행을 지속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개인-학교-제도 및 정책 수준의 다학문적 지원전략이 제시되었다. 이 연구는 특수교사의 실행 경험을 통해 긍정적 행동지원의 구조적 실행 요인을 이론화함으로써, 제도적 기반 확대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 지속되기 어려운 중재 실행의 한계를 조명하고, 개인-학교-정책 차원의 다층적 지원 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conditions, strategies, challenges, and needs involved in behavioral intervention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eachers’ implementation experiences through Grounded theory. To achieve this objectiv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at special schools in the Incheon area, each with 5 to 1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s a result of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a total of 373 concepts, 15 subcategories, and 7 major categories were derived. The core category was identified as “Establishing a Professional Support System for Students and Teachers.” The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teachers were classified into two types: “Family-Linked Active Paradigm” and “Family-Linked Active Paradigm.” The internal distress of teachers were found to be exacerbated by “Field Distress” and “Lack of Qualified Personal Resources and Cooperation,” while multidisciplinary support strategies at the personal, school, institutional, and policy levels were proposed to alleviate these difficulties and ensure sustainable implementation of intervent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theorizes the structural implementation factors of PB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highlights the limitations of sustaining behavioral interventions in practice despite the expansion of institutional frameworks, and emphasizes the need to establish a multi-level support system at the individual, school, and policy level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재우,백종남. (2025).근거이론을 활용한 특수교사의 발달장애 학생 문제행동 중재 경험 이해. 행동분석·지원연구, 12 (1), 209-234

MLA

김재우,백종남. "근거이론을 활용한 특수교사의 발달장애 학생 문제행동 중재 경험 이해." 행동분석·지원연구, 12.1(2025): 209-2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