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행동분석전문가 윤리 규정의 쟁점 사항에 대한 중요도-실행가능성 차이 분석
이용수 8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Importance-Performance Discrepancies in Ethical Issues of the Korean Behavior Analyst Ethics Code
- 발행기관
- 한국행동분석학회
- 저자명
- 백종남 홍이레 최진혁 박계신
- 간행물 정보
- 『행동분석·지원연구』제12권 제1호, 197~208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행동분석전문가 윤리 규정의 중요도와 실행가능성 간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해당 규정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윤리적 실천 강화를 위한 전략 수립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23년 델파이 연구(Park et al., 2023) 결과 도출된 윤리 규정 항목을 바탕으로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한국 행동분석전문가(KBA) 자격증을 소지한 50명이 참여하였으며, 각 윤리 항목에 대해 중요도와 실행가능성을 5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일부 윤리 항목은 중요도에 비해 실행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이는 현장에서의 교육 및 제도적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윤리 규정의 실행 가능성을 시각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윤리 교육 및 자격 유지 정책적 개선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iscrepancy between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actual performance of ethical standards for behavior analysts in Korea. Based on the Delphi study conducted in 2023 (Park et al., 2023),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was conducted using the identified items of the ethics code. A total of 50 certified Korean Behavior Analysts (KBA) participated in the survey, rating each ethical item on a five-point Likert scale for both importance and performance. The results revealed that some items demonstrated relatively lower performance compared to their perceived importance, indicating the need for additional training and institutional support.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data for evaluating the practical applicability of ethical codes and offers insights for future educational and policy development to support ethical practice among behavior analys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PEERS®가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한국 행동분석전문가 윤리 규정의 쟁점 사항에 대한 중요도-실행가능성 차이 분석
- 일반학교 초등교사와 학부모가 협력한 긍정적행동지원이정서‧행동장애 위험군 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효과
- 발달장애 조기개입 인력 양성을 위한 병원형 수련제도에 관한 연구
- 장애인 복지기관 종사자가 인식하는 성인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 중재 역량에 대한 우선순위 분석
- 비디오 또래 모델링 중재가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 기술 습득에 미치는 영향
-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의 연구 동향 및 질적지표 분석
- 근거이론을 활용한 특수교사의 발달장애 학생 문제행동 중재 경험 이해
-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다중반응교수법(MEI)이 발달장애 아동의 네이밍에 미치는 영향
- ASD 유아의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 향상을 위한 국내와 국외 ABA 전문가의 인식 연구
- 행동중재 전문가 양성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