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행동중재 전문가 양성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이용수 12
- 영문명
-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Behavior Intervention Specialist Training Program
- 발행기관
- 한국행동분석학회
- 저자명
- 송은숙 최진혁 이상아
- 간행물 정보
- 『행동분석·지원연구』제12권 제1호, 57~8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4 장애학생 행동중재 전문가 양성과정 직무연수’의 효과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교원연수 프로그램은 특수교사의 행동중재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2021년부터 P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수원이 시도교육청으로부터 위탁받아 운영되었다. 연수 프로그램은 150시간의 기초 과정(원격연수), 심화 과정(집합연수), 실습 과정(원격연수)으로 구성된 현장적용형 혼합형 연수 과정으로 개발되었고, 약 6개월 동안 총 189명의 교사가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사전-사후 설문조사를 통해 특수교사의 행동중재 절차 실행도, 교사효능감, 학급관리기술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또한 교원연수 성과평가 설문조사를 통해 연수 만족도와 현업적용도를 분석하였다. 사전-사후 설문조사 결과, 첫째, 특수교사의 행동중재 절차 실행도, 교사효능감, 학급관리기술이 사전-사후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연수 종료 후 특수교사의 만족도와 현업적용도 전체 평균이 매우 높게 나타났고, 연수 참여 소감을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양적 연구 결과를 뒷받침하는 근거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행동중재 전문가 양성을 위한 효과적인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질 제고 방안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2024 Training Program for Behavior Intervention Specialist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by measuring improvements in teachers’ intervention procedures, efficacy and classroom management skills. This teacher training program has been conducted since 2021 by the College of Education’s Teacher Training Institute at P University, commissioned by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o enhan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tise in behavior intervention. The training program consisted of a 150-hour blended learning course, including a foundational course (online training), an advanced course (in-person training) and a practicum course (online training), designed for practical application in the field. A total of 189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hich lasted approximately six months. This study employed a pre- and post-survey design to compare changes in special education teachers’ implementation of behavior intervention procedures, teaching efficacy and classroom management skills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Additionally, a program evaluation survey was conducted to assess participants’ satisfaction with the training and its practical applicability in their professional setting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 and post-survey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implementation of behavior intervention procedures, teacher efficacy and classroom management skills. Secon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both overall satisfaction and workplace applicability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found to be very high. A qualitative analysis of participants’ reflections and suggested improvements supported the quantitative finding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s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teacher training programs aimed at cultivating experts in behavior interven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PEERS®가 발달장애 청소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한국 행동분석전문가 윤리 규정의 쟁점 사항에 대한 중요도-실행가능성 차이 분석
- 일반학교 초등교사와 학부모가 협력한 긍정적행동지원이정서‧행동장애 위험군 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효과
- 발달장애 조기개입 인력 양성을 위한 병원형 수련제도에 관한 연구
- 장애인 복지기관 종사자가 인식하는 성인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 중재 역량에 대한 우선순위 분석
- 비디오 또래 모델링 중재가 발달장애아동의 일상생활 기술 습득에 미치는 영향
-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의 연구 동향 및 질적지표 분석
- 근거이론을 활용한 특수교사의 발달장애 학생 문제행동 중재 경험 이해
-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다중반응교수법(MEI)이 발달장애 아동의 네이밍에 미치는 영향
- ASD 유아의 사회적 의사소통 기술 향상을 위한 국내와 국외 ABA 전문가의 인식 연구
- 행동중재 전문가 양성 교원연수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