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반학교 초등교사와 학부모가 협력한 긍정적행동지원이정서‧행동장애 위험군 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20

영문명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Implemented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arents on Class Participation Behavior of Students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발행기관
한국행동분석학회
저자명
강영모 최경희
간행물 정보
『행동분석·지원연구』제12권 제1호, 35~5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반학교 초등교사와 학부모가 협력한 긍정적행동지원(positive behavior support, PBS)이 정서․행동장애 위험군 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경기도 소재 A 공립초등학교에서 모집된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중다중재설계(A1-B1-BC1-A2-BC2)를 적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목표행동은 연구 참여 학생의 수업참여행동이며, 순간시간표집법을 활용해 수업참여행동의 발생률을 측정하였다. 중재는 담임교사와 학부모가 협력한 긍정적행동지원으로, 교사는 교실에서 기능기반의 중재 전략을 적용하는 역할을 수행하였고, 부모는 일일점검카드 확인, 가정 내 교수, 강화 제공, 정보 공유 등 협력 역할을 담당하였다. 연구 결과, 정서․행동장애 위험군 학생의 수업참여행동 발생률은 기초선 단계(A1)에서는 평균 18.7%(6.3-40.0%)에 불과하였으나, 중재 도입 이후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최종 단계(BC2)에서는 평균 92.9%(87.5-100%)까지 향상되었다. 이를 통해 교사와 부모의 협력에 기반한 PBS가 정서․행동장애 위험군 학생의 수업참여행동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일반학교에서 PBS를 실행할 때 가정과 학교의 연계를 강화하고 학생을 위한 협력을 도모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PBS), implemented through collabor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arents, on the class participation behavior of a student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 fourth-grade student recruited from a public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do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multitreatment design (A1-B1-BC1-A2-BC2) was applied to conduct the experiment. Class participation behavior was the target behavior and was measured using a momentary time sampling method. The intervention involved collaborative PBS implemented by the homeroom teacher and the parent. Specifically, the homeroom teacher applied function-based intervention strategies in the classroom, while the parent contributed by reviewing daily behavior cards, providing home-based instruction, delivering reinforcement, and sharing relevant inform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lass participation behavior of the student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veraged only 18.7% (6.3-40.0%) during the baseline phase (A1), but gradually increased after intervention implementation, reaching 92.9% (87.5-100%) in the final phase (BC2). These findings confirm that PBS based on collabora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can effectively enhance class participation behaviors of students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serve as foundational data to reinforce home-school collaboration and facilitate cooperation for students when implementing PBS in general education setting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영모,최경희. (2025).일반학교 초등교사와 학부모가 협력한 긍정적행동지원이정서‧행동장애 위험군 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효과. 행동분석·지원연구, 12 (1), 35-55

MLA

강영모,최경희. "일반학교 초등교사와 학부모가 협력한 긍정적행동지원이정서‧행동장애 위험군 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효과." 행동분석·지원연구, 12.1(2025): 35-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