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발달장애 조기개입 인력 양성을 위한 병원형 수련제도에 관한 연구

이용수  5

영문명
Exploring the Need for a Hospital-Based Training System for Early Intervention Professionals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행동분석학회
저자명
김대용 김민희
간행물 정보
『행동분석·지원연구』제12권 제1호, 1~15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발달장애 조기개입 인력 양성을 위한 병원형 수련제도의 필요성과 방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발달재활서비스 행동발달재활 영역 자격 취득을 위한『행동재활현장실습』을 병원에서 이수한 실습생 10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 FGI)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다학제적 협업이 가능한 임상 환경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실습생을 전담할 수 있는 인력과 명확한 실습 목표 및 피드백 체계가 부재하다는 문제가 드러났다. 또한, 120시간의 실습 기간은 임상 역량을 충분히 개발하기에는 부족하며, 사전 준비 과정 및 병원 수련 전·중 병행 과목 구분의 필요성도 제기되었다. 수련생을 위한 최소한의 공간과 생활비 지원의 필요성도 강조되었다. 본 연구는 병원형 수련제도의 제도적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발달장애 조기개입 인력의 전문성 강화 및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need for a hospital-based training system for early intervention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n trainees who completed their practicum at hospital-based behavioral development centers. Thematic analysis revealed key issues, including the benefits of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but also the lack of designated practicum supervisors, unclear training goals, and insufficient opportunities for structured feedback. The standard 120-hour practicum was considered inadequate for developing clinical competence, and the need for a clear distinction between pre-practicum and concurrent coursework was identified. Participants als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reparatory periods before client interaction, access to and training in clinical assessment tools, the provision of minimum space and living support for trainees, and the establishment of a fixed training period of up to one year. This study provides foundational insights for the establishment of a hospital-based training system aimed at enhancing professional competencies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early intervention servic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대용,김민희. (2025).발달장애 조기개입 인력 양성을 위한 병원형 수련제도에 관한 연구. 행동분석·지원연구, 12 (1), 1-15

MLA

김대용,김민희. "발달장애 조기개입 인력 양성을 위한 병원형 수련제도에 관한 연구." 행동분석·지원연구, 12.1(2025): 1-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