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의 연구 동향 및 질적지표 분석

이용수  29

영문명
Analysis of Research Trends and Qualitative indicator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PB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행동분석학회
저자명
김희은 이정해
간행물 정보
『행동분석·지원연구』제12권 제1호, 155~173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된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 연구의 동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질적 수준을 평가하여 향후 연구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 9월부터 2024년 10월까지 발표된 논문 중 선정 기준에 부합하는 15편을 분석틀에 따라 검토하고, CEC 질적 지표를 기준으로 연구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긍정적 행동지원 연구는 연도별로 불균형이 나타났으며, 대부분 초등학생과 특수학교를 대상으로 수행되어 연구 대상과 환경의 다양성이 부족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 설계는 중다기초선 설계가 주로 사용되었고, 종속 변인은 도전행동 감소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질적 지표 분석에서는 ‘자료 분석’ 항목이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은 반면, ‘중재 충실도’와 ‘사회적 타당도’ 항목은 낮게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긍정적 행동지원 연구에서 대상과 환경의 다양성 확보, 다양한 실험 설계의 활용, 연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를 높이기 위한 질적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d the trend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PBS) intervention studies conducted with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evaluated their methodological quality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this purpose, 15 studies published between September 2013 and October 2024 that met the inclusion criteria were reviewed using an analytical framework and assessed based on the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CEC) quality indicators. The analysis revealed an uneven distribution of PBS studies across the years, with most studies conducted in elementary school settings and special education schools, indicating a lack of diversity in participants and settings. Multiple baseline design was the most commonly employed research design, and dependent variables primarily focused on reducing challenging behaviors. In terms of quality indicators, the “data analysis” component received relatively high ratings, whereas “treatment fidelity” and “social validity” were rated lower.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future PBS research to enhance participant and setting diversity, adopt varied experimental designs, and improve the overall methodological rigor to ensure greater reliability and validi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희은,이정해. (2025).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의 연구 동향 및 질적지표 분석. 행동분석·지원연구, 12 (1), 155-173

MLA

김희은,이정해.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의 연구 동향 및 질적지표 분석." 행동분석·지원연구, 12.1(2025): 155-1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