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19 개정 누리과정 의사소통 영역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요구
이용수 0
- 영문명
-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regarding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 저자명
- 임예지 안예슬
- 간행물 정보
-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제10권 제1호, 77~10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 의사소통 영역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 였다. 연구대상은 공·사립 유치원 교사 390명이었으며, 의사소통 영역 전반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 및 빈도분석를 실시하였고, 교사의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 및 주 관식 응답 범주화를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유치원 교사들의 의사소통 영역 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결과, 교사들은 의사소통 영역의 내용범주 중 ‘듣기와 말하기’를 가장 중요 하게 생각하였고 각 내용에 대한 중요도를 다르게 인식하였다. 또한 각 내용에 따라 연령별 적합도 가 다르다고 생각하였으며, 대체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의사소통 영역 내용의 연령별 적합도가 높 아진다고 보고 있었다. 둘째, 유치원 교사들의 의사소통 영역에 대한 요구를 알아본 결과, 교사들 의 요구는 새로운 교육 내용의 추가, 교육 내용의 구체화, 언어 교수·학습방법 및 자료 제공, 유·초 연계 강화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 연구와는 다르게 2019 개정 누리과정에 대 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의사소통 영역에 초점을 맞추어 알아보았다는 의의가 있고, 현장 의 교사들이 교육과정 내용을 어떻게 인식하고 실천하고 있는지를 보여주어 시사하는 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regarding the Communication Area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 total of 390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analyze perceptions, while open-ended responses were categorized to identify need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examining teachers’ perceptions of the area, teachers perceived listening and speaking as the most important components within the Communication Area, with varying levels of importance attributed to other content areas. They recognized different levels of importance for each content area and perceived that the ageappropriateness of the content varied by age group, generally reporting that the appropriateness as increasing with children’s age. Second, regarding teachers’ needs related to the area, their responses included adding new content, specifying existing content, providing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of language education, and ensuring continuity with elementary educa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mited body of research on teacher perspectives regarding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 topic that has not been extensively examined in previous research. Furthermore, the findings provide insights into how teachers perceive and implement curriculum content in practi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의 디지털 놀이에 대한 교사의 지원 경험과 어려움
- 2019 개정 누리과정 의사소통 영역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요구
- 서울형 키즈카페 놀이기구 및 놀이시설 분석
- 유아기 학업능력이 학령기 학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학습 준비도의 매개효과
-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소진의 관계에서 정서노동의 매개효과
- 이음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실태 및 요구조사
- 미국의 유아교육과정 연속성 및 교원자격 분석을 통한 국내 이음교육 방향 탐색: 뉴저지주를 중심으로
- 한국과 호주의 영유아교육기관 평가 지표 비교 연구: 구조적 질, 과정적 질을 중심으로
- 2019 개정 누리과정 전후의 놀이 및 놀이 환경에 대한 교사 인식의 변화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