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과 호주의 영유아교육기관 평가 지표 비교 연구: 구조적 질, 과정적 질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n evaluation indicato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Korea and Australia: Focusing on structural quality and process quality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저자명
김성미 신진영 한영미
간행물 정보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제10권 제1호, 155~18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유치원 평가, 어린이집 평가제, 호주의 NQS 평가 지표를 구조적 질과 과 정적 질로 나누어 비교·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OECD TALIS 국제 유아교원 조사 의 설문 항목을 재구성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영유아교육기관의 구조적 질과 과정적 질에 대한 평가 지표 내용을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한국 유치 원은 구조적 질, 한국 어린이집은 과정적 질이 높은 비율로 나타났고, 호주의 NQS는 구조 적 질과 과정적 질이 동일한 비율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적 질을 하위 주제별로 분석한 결 과, 한국 유치원 평가와 어린이집 평가제는 건강과 안전 영역, 호주의 NQS는 운영관리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셋째, 과정적 질을 하위 주제별로 분석한 결과, 한국 유치원 평 가는 교육과정, 한국의 어린이집 평가제와 호주의 NQS는 교사-아동 상호작용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보통합으로 변화될 한국의 영유아교육기관의 질을 높이기 위한 평가 지표 마련 시 구조적 질과 과정적 질의 세부 항목 구성 방향 및 평가 지표 마련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Korea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with thos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Australia, offering insights for the development of more comprehensive evaluation criteria in Korea. To achieve this, the study developed an analytical framework based on the TALIS Starting Strong framework and other relevant studies, categorizing and examining structural quality and process quality.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tructural quality was more emphasized in Korean kindergartens, whereas process quality received great attention in Korean daycare centers. In contrast, Australia’s National Quality Standard (NQS) presented a balanced focus on both structural and process quality. Second, within structural quality, health and safety held the highest proportion in both Korea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while operational management was the most prominent area in Australia. Third, regarding process quality, curriculum was the primary focus in Korean kindergartens, whereas teacher-child interaction was prioritized in both Korean daycare centers and Australia’s NQ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evaluation indicators in Korea that more holistically address both structural and process quality, particularly in light of the planned integration of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자료 및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미,신진영,한영미. (2025).한국과 호주의 영유아교육기관 평가 지표 비교 연구: 구조적 질, 과정적 질을 중심으로.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10 (1), 155-185

MLA

김성미,신진영,한영미. "한국과 호주의 영유아교육기관 평가 지표 비교 연구: 구조적 질, 과정적 질을 중심으로."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10.1(2025): 155-1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