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의 디지털 놀이에 대한 교사의 지원 경험과 어려움
이용수 0
- 영문명
- Kindergarten teachers’ experiences and challenges in supporting children’s digital play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 저자명
- 박선민 엄정애
- 간행물 정보
-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제10권 제1호, 27~5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디지털 놀이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지원 경험과 어려움을 알아보는 데 목 적이 있었다. 서울과 경기 지역의 공·사립 유치원에서 디지털 놀이 지원 경험이 있는 교사 12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유아 의 디지털 놀이를 지원하기 위해 디지털 놀이 환경 조성하기, 유아의 자율적 탐색 기회 제 공하기, 조작하기 어려운 디지털 기기와 앱 사용 도와주기, 놀이 흐름 관찰을 통해 디지털 과 연결하기, 구성원 간 상호작용을 통해 디지털 놀이 확장하기, 타 학급 및 가정과 협력하 기의 경험을 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디지털 놀이 환경 조성 시 어려움, 교사의 시간 적 여유 부족 및 디지털 역량 부족에서 오는 어려움, 유아의 디지털 매체 중독성 관리의 어 려움, 가정 연계 및 기관 관리자가 디지털 놀이를 대하는 태도에서 오는 어려움을 겪는다고 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교사, 부모, 관리자의 디지털 놀이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한 교육과 국가 차원의 정책 및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시사점으로 제시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kindergarten teachers’ experiences and challenges in supporting young children’s digital play. One-on-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teachers from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and Gyeonggi al of whom had experience facilitating digital play.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had actively created digital play environments by enabling autonomous exploration, assisting with complex digital tools and applications, observing and extending children’s play and fostering collaboration across classrooms and with families. Second, teachers reported challenges including limited time and digital competence, difficulties in managing addictions to digital media, and a lack of support from both families and institutional administrator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targeted professional development, increased awareness among stakeholders, and systemic policy and institutional support to better integrate digital play into early childhood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의 디지털 놀이에 대한 교사의 지원 경험과 어려움
- 2019 개정 누리과정 의사소통 영역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요구
- 서울형 키즈카페 놀이기구 및 놀이시설 분석
- 유아기 학업능력이 학령기 학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학습 준비도의 매개효과
-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소진의 관계에서 정서노동의 매개효과
- 이음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실태 및 요구조사
- 미국의 유아교육과정 연속성 및 교원자격 분석을 통한 국내 이음교육 방향 탐색: 뉴저지주를 중심으로
- 한국과 호주의 영유아교육기관 평가 지표 비교 연구: 구조적 질, 과정적 질을 중심으로
- 2019 개정 누리과정 전후의 놀이 및 놀이 환경에 대한 교사 인식의 변화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