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음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실태 및 요구조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implementations, and needs on kindergarten-elementary school transition education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 저자명
- 박은혜 장민영 이성희 박선혜
- 간행물 정보
-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제10권 제1호, 5~2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이음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실행 경험, 지원에 대한 요구를 살펴봄으로써 이 음교육의 안정적 정착과 효과적 실행을 위한 지원 방향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이음교육에 대해 교사들은 대체로 연계가 안되거나, 보통 수준으로 연계가 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 었으며, 연계의 어려움으로 유치원과 초등학교 간 협력체제 미흡을 주된 이유로 꼽았다. 한편 이음 교육 4대 기초역량 중심으로 이음교육 초점을 알아본 결과 자조기술과 의사소통능력, 규칙에 대한 이해와 문제해결능력, 그리고 공감과 친절한 소통방식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음교육에 대한 실행 경험을 살펴본 결과, 유아(학생) 간 연계를 비롯하여 행사와 공간의 연계 형태로 이음교육 을 많이 실행하였으며, 이에 대해 많은 교사가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다만 이음교육 미경험 교사 의 경우 과도한 업무 부담이나 이음교육 내용 및 방법에 대한 이해 부족, 유·초 연계 시스템 부족 등 을 미참여 이유로 들고 있어 이음교육 확대를 위한 행·재정적 지원체계 기반 마련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한편 교사들의 이음교육 지원 경험을 통해 향후 이음교육의 안착 및 확대를 위해 다양한 사례 에 기반한 효과적인 이음교육 교사교육 프로그램 또는 지원자료 개발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implementation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related to stabilizing and effectively implement kindergartenelementary transition education. First, teachers generally perceived none to moderate cooperation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s, identifying this lack of collaboration as a primary challenge. On the other hand, when examining the four basic competencies of seamless education,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self-help skills and communication skills, understanding of rules and problem-solving skills, and empathy and friendly communication. Regarding implementation many teachers reported engaging in transition education through student, event, and space-based connections, with generally positive evaluations. However, teachers who are inexperienced in the practice cited excessive workload,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and methods of the practice, and lack of structured linkage with elementary schools as barriers, emphasizing the need for a robust support system. The teachers’ experiences with the support they received for the joint education showe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effective teacher education programs or support materials based on more diverse cases of joint education in order to stabilize and expand joint transition education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의 디지털 놀이에 대한 교사의 지원 경험과 어려움
- 2019 개정 누리과정 의사소통 영역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과 요구
- 서울형 키즈카페 놀이기구 및 놀이시설 분석
- 유아기 학업능력이 학령기 학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학습 준비도의 매개효과
-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소진의 관계에서 정서노동의 매개효과
- 이음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실태 및 요구조사
- 미국의 유아교육과정 연속성 및 교원자격 분석을 통한 국내 이음교육 방향 탐색: 뉴저지주를 중심으로
- 한국과 호주의 영유아교육기관 평가 지표 비교 연구: 구조적 질, 과정적 질을 중심으로
- 2019 개정 누리과정 전후의 놀이 및 놀이 환경에 대한 교사 인식의 변화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