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국의 유아교육과정 연속성 및 교원자격 분석을 통한 국내 이음교육 방향 탐색: 뉴저지주를 중심으로

이용수  13

영문명
Exploring directions for transition from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primary education(Leum Education) through an analysis of curriculum continuum and teacher qualifications in the United States: Focusing on New Jersey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저자명
유선영
간행물 정보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제10권 제1호, 53~7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육과 초등학교 교육과정 체계가 분리되어 있으나 두 단계 간 교육과정 연속성을 강화 하고 있는 미국 뉴저지주 사례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이음교육의 방향 설전과 기초 자료 제공을 목적으 로 한다. 이를 위해 뉴저지주 교육부 교육과정 문서와 지침서, 미국 내 교육과정 연속성 관련 정책 자료, OECD 학술자료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뉴저지주는 0-2세, 3-4세, 5세(K학년)로 구분 된 교육과정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뉴저지 조기학습 경로(New Jersey Early Learning Pathway)를 통 해 0-2세와 3-4세 교육과정 간 정렬을 시행하여 발달과 학습 경험의 연속성을 강화하고 있다. 또한 3-4 세 대상의 preschool/Pre-K에서 K학년으로의 교육과정의 연속성과 원활한 전이를 위해 학습 기준을 정렬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는 지침을 마련하였다. 더 나아가 유아교육에서 초등학교 저학년(P-3) 간 연 계 정책을 통해 학년별 교육과정을 정렬(alignment)하는 한편, P-3 교사 자격 요건을 강화함으로써 교 육과정 연속성을 위한 교사 전문성을 강화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유·초 이음교육을 위해 현 재 분리된 0-2세, 3-5세, 초등학교 저학년 간의 교육과정을 정렬(alignment)하는 방안을 마련하여 교육 의 연속성을 확보하고 유아교사와 초등교사 상호 전문성에 대해 이해와 소통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ase of New Jersey in the United States which has strengthened curriculum continuity between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education. The findings reveal that New Jersey employs a segmented curriculum structure for children aged 0-2, 3-4, and 5 (kindergarten) while enhancing developmental and learning continuity through the New Jersey Early Learning Pathway, which aligns the curricula for ages 0-2 and 3-4. Furthermore, the state has aligned learning standards and developed implementation guidelines to ensure a smooth transition and curriculum continuum between preschool/Pre-K and kindergarten. Additionally, through P-3 alignment policies, New Jersey has standardized grade-level curricula and strengthened teacher expertise by enhancing the qualifications required for P-3 educators. To implement Leum education in Korea,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lignment among the curricula for ages 0-2, 3-5, and early elementary grades, while also creating opportunities for mutual communication and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 expertise between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미국의 뉴저지주 학제 및 교육과정 연속성 현황
Ⅲ. 교육 연속성을 위한 뉴저지주 유아교사 자격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선영. (2025).미국의 유아교육과정 연속성 및 교원자격 분석을 통한 국내 이음교육 방향 탐색: 뉴저지주를 중심으로.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10 (1), 53-76

MLA

유선영. "미국의 유아교육과정 연속성 및 교원자격 분석을 통한 국내 이음교육 방향 탐색: 뉴저지주를 중심으로."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10.1(2025): 53-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