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19 개정 누리과정 전후의 놀이 및 놀이 환경에 대한 교사 인식의 변화

이용수  0

영문명
Changes in teachers’ perceptions of play and play environments before and after the 2019 Nuri Curriculum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저자명
박재진
간행물 정보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제10권 제1호, 187~209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19 개정 누리과정 이후 놀이와 놀이 환경 측면에서 교사의 인식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살펴보고 놀이의 이해를 높이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 해, 영유아의 놀이에 대한 교사 인식과 놀이 환경에 대한 교사 인식의 변화가 어떤지 두 차례의 조사를 통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교사들은 과거에 비해 놀이와 일상생 활의 중요성을 더 크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자유놀이’라는 용어도 익숙하게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놀이하는 장소를 지칭하는 말로 ‘놀이 영역’, ‘흥미 영역’, ‘자 유선택영역’을 주로 사용하고 있었다. 놀이 환경을 구성할 때에는 현재의 교사들이 과 거보다 영유아의 놀이 주제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2019 개정 누리 과정에서 강조하는 놀이의 개념이 과거보다 강조되고 있으나 현장의 교사들은 아직까 지 놀이의 개념과 지원에서 혼란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는 영유아의 놀이 지원을 위한 지속적인 교사 교육과 현장의 놀이 현황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이 필 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change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play and play environments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9 Nuri Curriculum in Korea. The study also aimed to propose directions for enhancing teachers’ understanding of play. To this end, I conducted two surveys to examine the shifts in teachers’ perceptions of children’s play and the environments that facilitate it. The results showed that, compared to the past, teachers now place greater emphasis on play and everyday life, with the term ”free play“ being used more frequently. Various terms such as play area, interest area, and free-choice area, were reported to describe play environments. Teachers assign greater significance to children’s play themes when organizing play environments than in the past. The study also revealed that while the concept of play emphasized in the 2019 Nuri Curriculum has now gained increased attention, teachers still experience confusion regarding the concept and support for play. This suggests the need for continuous teacher training and regular review of play support method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목차

Ⅰ. 서론
II.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재진. (2025).2019 개정 누리과정 전후의 놀이 및 놀이 환경에 대한 교사 인식의 변화.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10 (1), 187-209

MLA

박재진. "2019 개정 누리과정 전후의 놀이 및 놀이 환경에 대한 교사 인식의 변화."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10.1(2025): 187-2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