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기 청소년의 의사소통역량 강화를 위한 LEGO Serious Play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다차원적 효과 평가

이용수  3

영문명
Development and Multidimensional Evaluation of a LEGO Serious Play-Based Program to Enhance Communication Competence in Early Adolescence
발행기관
한국인간발달학회
저자명
이금선 김예진 주수산나 김현경 송유진 송시하 김현빈 주병용 이지혜
간행물 정보
『인간발달연구』제32권 제2호, 37~53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융합적 문제해결이 중요한 제4차 산업혁명 사회에서 미래 세대에게 필요한 역량 중 하나로의사소통역량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의 의사소통역량 강화를 위해 놀이 기반 교육 접근법인 LEGO Serious Play(LSP)를 적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성 검증 및 프로그램 평가를 포함한 다차원적 평가를 실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 ~ 5학년을 대상으로 실험집단(16명)과통제집단(11명)을 구성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두 집단을 대상으로 의사소통역량 사전⋅사후검사를 진행하였으며,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에 대한 양적⋅질적 평가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Mann-Whitney U 검정, Wilcoxon 부호순위 검정, Kendall의 순위 상관분석 및 질적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실험집단의 의사소통역량 하위요인 중 ‘상호 이해 형성’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프로그램 평가를 통해 LSP가 초기 청소년의 흥미와 수준에 적합하며, 전통적 교수 방법과 달리 놀이로 인식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LSP가 초기 청소년에게 의미 있는 학습 경험을 제공하고, 미래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적 접근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ere convergent problem-solving is crucial, communication competence is highlighted as one of the essential competences for future generation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LEGO Serious Play(LSP) based program, a play-oriented educational approach, that enhances communication competence in early adolescents, and to conduct a multidimensional evaluation encompassing both efficacy and program evaluation.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16 elementary school students (4th and 5th graders), and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11 students. Pre- and post-tests on communication competence were conducted for both groups, and the experimental group also participated i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s of the program.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Mann-Whitney U test, Wilcoxon signed-rank test, Kendall's rank correlation analysis, and qualitative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developing shared understanding’ sub-factor of communication competence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Evaluation of the program confirmed that the LSP approach was engaging and appropriate for early adolescents, and was perceived as play rather than traditional learning method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emonstrates LSP as a valuable educational method that can provide early adolescents with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s and serve as an approach for developing future competencies.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금선,김예진,주수산나,김현경,송유진,송시하,김현빈,주병용,이지혜. (2025).초기 청소년의 의사소통역량 강화를 위한 LEGO Serious Play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다차원적 효과 평가. 인간발달연구, 32 (2), 37-53

MLA

이금선,김예진,주수산나,김현경,송유진,송시하,김현빈,주병용,이지혜. "초기 청소년의 의사소통역량 강화를 위한 LEGO Serious Play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다차원적 효과 평가." 인간발달연구, 32.2(2025): 37-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