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소셜 미디어 상향 비교와 양육능력불안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물질주의 가치관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용수  18

영문명
Impact of Social Media Comparisons on Marital Satisfaction among Mothers: The Role of Parental Anxiety and Materialism
발행기관
한국인간발달학회
저자명
박하연
간행물 정보
『인간발달연구』제32권 제2호, 1~1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소셜 미디어 상향비교 경험이 양육능력불안을 매개로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관계에서 물질주의 가치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2018 ∼ 2022년생 자녀를 기르는 어머니 34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분석,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한 매개 및 조절된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소셜 미디어 상향비교는 결혼만족도를 직접적으로 낮출 뿐 아니라, 양육능력불안을 매개로 간접적인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물질주의 가치관은 양육능력불안과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조절하였으며, 물질주의 성향이 높을수록 양육능력불안을 통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상향비교의 부정적 간접효과가 더욱강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소셜 미디어 사용 경험이 개인의 정서적 반응을 넘어 부부관계 만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며, 향후 양육 및 가족관계 지원을 위한 실천적 개입의 기초자료로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upward social comparison on social media among mothers of young children on marital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parental competence anxiety and the moderating role of materialistic value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340 mothers of children born between 2018 and 2022.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oderated medi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PROCESS macr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upward social comparison on social media had a direct negative effect on marital satisfaction and an indirect negative effect mediated by parental competence anxiety. Second, materialistic values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competence anxiety and marital satisfaction. Specifically, the negative indirect effect of upward social comparison on marital satisfaction via parental competence anxiety was stronger among mothers with higher levels of materialistic valu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others’ experiences on social media may influence not only their individual emotional well-being but also the quality of their intimate relationships. This study offers important implications for designing interventions to support parenting and family well-being in the context of digital media use.

목차

I.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하연. (2025).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소셜 미디어 상향 비교와 양육능력불안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물질주의 가치관의 조절된 매개효과. 인간발달연구, 32 (2), 1-17

MLA

박하연.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소셜 미디어 상향 비교와 양육능력불안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물질주의 가치관의 조절된 매개효과." 인간발달연구, 32.2(2025): 1-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