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개인의 실천을 중심으로 바라본 학습공동체에서의 학습의 의미 : I대학교 학습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3

영문명
Meaning of Learning in a Learning Community Based on Individual Practice: In the Case of I University Learning Community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송슬기 권미애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25권 제2호, 213~23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습공동체를 바라보는 거시적이고 공동체적인 접근 방식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부터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개개인의 실천을 공동체로 환원시켜 접근하지 않고 학습의 당사자로서 참여자 개개인에 주목함으로써 공동체에서 그들이 어떻게 학습하고 있는지, 그리고 공동체가 어떻게 학습에 관여하고 학습을 유도하고 있는지에 대해 밝혀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I대학교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참여자를 중심으로 프로그램 참여 경험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아 그들의 학습 상황과 과정을 들여다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을 이수한 63개 팀의 학습활동보고서와 이를 통해 도출된 의미 범주를 중심으로 표적 면담을 실시하여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공동체 안에서의 학습 맥락과 활동의 질은 참여자들이 만들어낸 실천적 결과물이었다. 둘째, 팀 내 구성원들 간의 차이는 학습의 방해요인이 아닌, 서로의 이해와 수행을 좁혀나가는 과정 안에서 깊이 있는 학습을 유도하는 주요 변인으로 작용하였다. 셋째, 학습공동체 활동이 지속될수록 팀원들이 보여주는 활동은 자신의 학습 수준을 점검하고 갱신할 수 있는 기준이 되어주었으며, 이는 개별 역량의 성장을 통한 공동체 역량의 성장으로 이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로부터 본 연구는 학습공동체 연구를 바라보는 관점을 전환하고, 학습공동체 프로그램 설계 시 지속적으로 양질의 학습활동을 이끌어 갈 수 있는 학습의 맥락 설계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starts with a problematic awareness of the macroscopic and communal approach to the learning community.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discover how participants are learning and engaging in community by paying attention to each participant's practice. The cases used in this study are participants’ stories about learning community in I university. We analyzed their reports and interview reports and drew three conclusions. First,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learning community as a direct and specific context, not a macroscopic program, while creating and participating in the community context. Seco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articipants led to deep learning in an attempt to be in harmony. Third, as participation was added, the participants acted as a criterion to them and it was leading to the growth of individual competency and community capacity. From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o change the perspective on the study of the learning community and gave an implication that a context design is needed to lead high-quality learning activities from community activities.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실천을 통한 학습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슬기,권미애. (2022).개인의 실천을 중심으로 바라본 학습공동체에서의 학습의 의미 : I대학교 학습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25 (2), 213-236

MLA

송슬기,권미애. "개인의 실천을 중심으로 바라본 학습공동체에서의 학습의 의미 : I대학교 학습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25.2(2022): 213-2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